교육부가 학내 분규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상지대의 김문기 총장을 해임하라고 상지학원에 요구했다. 하지만 김 총장이 선임한 이사 5명을 승인해 비리 사학과 타협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교육부는 10일 상지대 종합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상지대는 사학 비리로 물러났던 김 총장이 복귀한 뒤 학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는 등 내홍을 겪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상지대에 대한 감사를 벌였다.
이번 감사에서 또 부적절한 학사행정이 적발됐다. 교육부는 관사 용도의 아파트를 부속 한방병원 병원장에게 무상 사용토록 한 점, 서류심사 및 면접시험 없이 계약직원 2명을 특별 채용한 점, 학생 수업 거부로 인해 962개 과목에서 발생한 수업 결손의 보강 대책을 수립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김 총장의 해임을 요구했다. 교육부는 상지학원이 김 총장 해임 요구에 불응하면 현행 이사들의 임원취임 승인을 취소하고 임시이사를 파견할 수 있다.
그러나 ‘반쪽짜리 조치’라는 비판이 나온다. 상지대가 지난 1월 신규 이사로 신청한 5명을 교육부가 승인했기 때문이다. 상지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는 “김 총장을 해임시키는 대신 김 총장의 지배를 받는 이사회를 인정하는 타협적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상지대 교수협의회는 “봐주기식 감사다. 김 총장 해임이 현실화될 때까지 적잖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가 추천한 이사들이 총장직 해임을 의결할지도 불확실하다”고 주장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야당 의원들은 입장문을 내고 “김 총장 1인에 대한 해임 요구로는 상지대 정상화가 어렵다”며 임시이사 파견을 촉구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교육부, 상지대 비리 종합감사] ‘김문기 총장 해임’ 요구했지만 김씨 측근 5명 이사 승인… 새 불씨
입력 2015-03-11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