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올린 서울 도시재생사업… 27개 선도지역에 1조3000억 투입

입력 2015-03-10 02:40

서울시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재생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존의 재개발·재건축 위주의 획일적인 철거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낙후된 지역을 정비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를 위해 4개 유형의 27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 2018년까지 공공인프라 구축 등에 1조3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또 갈등이 심화돼온 뉴타운의 대안으로 주민이 주도하는 신개념의 노후주거지 재생모델을 정립해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9일 이 같은 내용의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발표했다. 이는 민선 6기 박원순 서울시장의 핵심 정책인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 추진 방향과 실행 방안을 담은 첫 종합 재생계획이다.

시는 지역 특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해 27개 선도지역을 쇠퇴·낙후 산업지역(3곳), 역사·문화 자원 특화지역(12곳),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곳), 노후주거지역(12곳)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쇠퇴·낙후 산업지역 가운데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중고차 매매단지 일대 등 3곳이 1단계 사업대상으로 선정됐다. 용산전자상가나 온수산업단지, 구로공구상가 등 준공업지역 등에 대해서는 기본계획 수립이후 공감대 조성 등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역사·문화자원지역은 세종대로,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예장자락, 당인리 서울화력발전소, 낙원상가 돈화문로, 돈의문 역사문화공원 일대 등 7개 지역의 재생을 집중 추진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철도역 등으로 성장을 견인했으나 기반시설의 기능 고도화가 필요한 지역이다.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국제회의·인센티브관광·컨벤션·전시회(MICE) 지구,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곳에서 재생 사업이 우선 추진된다.

서울시는 특히 노후주거지 전체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공공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새로운 통합형 주거지 재생모델을 정립해 뉴타운 해제지역 등 시급한 지역부터 재생사업을 집중 추진키로 했다.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과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곳이 1단계 사업대상으로 선정됐다. 아울러 이미 추진 중인 주거환경관리사업에 대해서도 새로운 모델로 전환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기존 정비사업은 임대주택매입비용 현실화, 융자한도 증액, 이자율 인하 등 활성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신규 정비사업은 종전의 무분별한 예정구역 제도를 폐지하고 필요한 지역만 신중하게 선정하되 일단 지정되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공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선도사업을 위해 4년간 마중물사업에 1조3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아울러 시 투자기관인 SH공사를 재생사업 실행을 위한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시와 별도로 재생사업에 추가로 1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