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새누리 보수혁신위장 “완전 국민경선, 야당 불참 땐 여당 단독으로라도 도입해야”

입력 2015-03-10 02:17

새누리당 김문수(사진) 보수혁신특별위원장은 야당이 불참하면 새누리당만이라도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로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가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개방형 투표를 통해 후보를 선출하는 완전국민경선은 한국정치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새누리당은 국민공천제를 도입하는 데 적극적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낡은 정치 행태인 전략 공천을 온존시키려 한다”며 “야당의 소극적 태도로 여야 동시 실시가 무산되면 새누리당만이라도 국민공천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한을 새누리당 의원 전원에게 보냈다. 회의 직후엔 기자들과 만나 “여야 합의는 4월까지 마무리해야 된다”며 “일부 이견이 있겠지만 이렇게 가지 않으면 답이 없다. 대세는 이미 잡혔다”고 주장했다. 국민공천제는 공천권을 지역주민에게 돌려준다는 의미에서 혁신위가 따로 붙인 명칭이다.

새누리당에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도 단독 도입 시 예상되는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고 한다. 다만 김무성 대표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해도 큰 틀에서 방향이 맞기 때문에 어떻게 현실화시킬 것인지를 고민하자”면서 “중간에 포기하거나 안 하는 쪽으로 가선 안 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천 개혁은 김 대표의 취임 일성이었다.

김 위원장은 회의에서 최근 미국 방문 성과도 보고했다. 그는 미 국무부 초청으로 예비선거 제도를 점검한 뒤 SNS에 “정당 대표나 실력자들이 마음대로 공천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하고 풀뿌리 국민주권을 강화하는 것만이 대세”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