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협위원장 교체 보류하기로

입력 2015-03-09 02:06
새누리당은 친박(친박근혜)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이 ‘정치적 살인’이라고 강력하게 반발했던 8개 당원협의회의 위원장 교체안을 보류키로 했다. 김무성 대표 측과 서 최고위원의 갈등이 정면충돌 직전에 브레이크를 잡은 셈이 됐다.

하지만 ‘시간 벌기’ 외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내년 총선을 놓고 당권파와 친박이 ‘서바이벌 게임’을 벌일 것이 확실시되기 때문에 조직을 둘러싼 논란은 언제든 다시 불붙을 가능성이 높다. 김 대표는 총선 승리를 위해 기존 조직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친박 측은 김 대표가 총선을 명분으로 친박을 쳐내고 자기 사람을 심는다는 의혹의 시선을 버리지 않고 있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8일 “조직강화특별위원회가 11일 전체회의를 열고 당협위원장 교체 문제를 다시 논의키로 했다”면서 “교체 방침에 이의를 제기하는 당협위원장에게 소명할 기회도 주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강특위는 당무감사를 진행했던 당직자와 해당 당협위원장의 대질도 추진 중이다. 새누리당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철저하고 투명하게 절차를 진행해 잡음 많은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결정에는 김 대표의 의중이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보류 결정으로 내년 총선에 대비하기 위해 부실 당협위원장을 조기에 정비하려던 김 대표의 계획은 예상보다 늦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분은 잠시 봉합됐지만 당권파와 친박의 감정싸움이 활화산으로 불타오를 가능성은 매우 높다.

특히 이번 당협위원장 교체 문제도 한 당직자가 서 최고위원을 향해 “꼬붕(부하의 비속어) 정치”라고 비판한 것이 발단이 됐다. 한 친박 의원은 “사석에는 서 최고위원을 비난하면서 공개적으로는 서 최고위원과 모든 것을 상의하겠다는 김 대표 측의 말을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 측 인사는 “현역 의원도 아닌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에 대해 서 최고위원이 발목을 잡고 있으니 당 차원에서 개혁적인 작업을 추진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고 반박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