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대학이 살려면 어떻게 변해야 할까. 지난해 사내대학 재학생들과 기업 관계자들을 만나 개선 방안을 연구한 나영선(사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19일 “사내대학의 ‘사외대학’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생이 줄어드는 문제나 학과·프로그램 등에 대한 요구를 해결하려면 기업 혼자만의 힘으로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고졸자 감소로 사내대학 입학생이 줄어든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행 사내대학에 대학원 과정을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직원의 대부분인 대학 졸업자가 사내대학에 지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논의를 거쳐 평생교육법을 개정할 수 있다. 이수 학점을 줄이는 것도 한 방법이다. 현재 2년제 사내대학은 80학점, 4년제 사내대학은 140학점을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공청회나 면담을 해보면 업무와 공부를 병행하는 게 힘들다는 학생이 많다. 현장 업무의 학점 인정 범위를 점차 늘려야 한다. 사내대학만의 특수한 현실을 감안해주는 거다.”
-모든 비용을 기업이 부담하는 게 무리라는 의견도 있다.
“정부에서 사내대학 전담 인력 인건비 등을 지원하면 된다. 고용노동부는 현재 고용보험에 가입된 사업장의 사업주가 15세 이상 근로자나 채용 예정자, 구직자 등을 대상으로 기업 훈련을 실시한 경우 비용을 고용보험기금으로 지원해주고 있다. 평생교육기관으로 분류돼 지원에서 빠져 있는 사내대학을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사내대학이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보다 중요한 건 교육의 형평성과 연속성이다. 중소기업도 사내대학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다양하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대기업·전문대학·중소기업 연계 모형을 대안으로 들 수 있다. 우선 중소기업이 몰려 있는 지역이나 산업단지 가까이에 있는 전문대학을 거점대학으로 지정해 여러 기업의 교육 수요를 조사한다. 협의를 통해 필요한 학과를 정하고 전문대에서 각 기업 근로자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학위는 해당 대학 이름으로 나오도록 하면 된다.
또 대기업은 사내 직원뿐 아니라 같은 업종 근로자, 채용 예정자에게까지 사내대학 입학 자격을 확대해야 한다. 자사 기술이나 노하우 유출 우려도 분명 있다. 하지만 보안 사항을 제외하고 학생과 교수진을 지속적으로 외부에서 수혈해야 사내대학이 침체되지 않는다. 사내대학도 일반대·전문대와 경쟁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야 한다. 특정 기업을 넘어 지역사회 근로자의 계속교육 거점 대학이 돼야 살아남을 수 있다.”
박세환 기자
[회사 안의 대학 ‘사내대학’] “중소기업이 사내대학 만들 수 있게 여건 조성해야”
입력 2015-04-20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