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일반피복 6만여벌도 품질검사 안 받고 납품… 특수방화복 이어 또 비리

입력 2015-03-07 02:31
특수방화복에 이어 소방관이 평상시 입는 일반피복 6만여벌도 품질검사를 받지 않고 일선 소방관서에 납품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안전처는 소방피복 납품과정에서 품질검사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의심되는 업체 총 16곳을 적발해 순차적으로 수사기관에 고발했다고 6일 밝혔다.

고발된 업체는 특수방화복 납품 업체 4곳과 일반피복 납품 업체 12곳이다. 안전처는 지난달 6일 품질검사를 받지 않은 특수방화복 5365벌을 납품한 특수방화복 업체 4곳 중 납품물량이 많은 2곳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어 지난달 17일 일반피복 업체 10곳, 지난 5일에는 특수방화복 업체 2곳과 일반피복 업체 2곳을 각각 고발했다.

안전처는 특수방화복 검사 누락이 드러난 후 소방관 일반피복 4종(기동복, 근무복, 방한복, 점퍼)에 대한 품질검사 실태를 자체 조사한 결과 총 6만여벌이 KFI(한국소방산업기술원) 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안전처는 업체의 납품 실적과 KFI 검사량을 비교해 12개 업체의 납품량이 검사를 통과한 물량보다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안전처는 적발 업체에 대해 KFI 인정취소 및 조달청을 통한 대금환수, 입찰참가 제한 등 행정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또 조달청, 물품관리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소방장비 구매·관리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부정납품을 막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안전처는 앞으로 현지 출장검사를 폐지하고 특수방화복을 KFI에 전량 입고해 검사한 후 합격된 제품만 KFI가 직접 각 소방관서에 배송하는 방식으로 납품체계를 전환할 계획이다. 또 합격표시 날인(철인) 외에 제품별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별도의 라벨을 부착해 부정 납품된 제품을 쉽게 가려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소방장비 검사 및 납품 시스템 전반에 대해 감사원 감사를 의뢰해 소방장비 관리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