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영방송인 NHK의 모미이 가쓰토 회장이 올 초 사내 회의에서 군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가 정부 공식 방침이 아니라고 발언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6일 보도했다.
모미이 회장은 1월 9일 국제방송프로그램 심의회에서 국제 프로그램과 관련한 NHK의 구체적인 방침이 없다고 지적한 뒤 “아베 총리가 ‘아베담화(전후 70주년 담화)’를 내면 이는 국가의 정책(방침)이지만 고노담화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1993년 고노 요헤이 당시 관방장관이 발표한 고노담화는 군위안부 제도의 강제성과 일본군의 관여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내용을 담았다. 재계 출신인 모미이 회장은 지난해 1월 취임 기자회견 때도 ‘군위안부는 어느 나라에나 있었다’는 취지로 발언해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반면 일본 대기업이 ‘큰손’인 미국의 싱크탱크 맨스필드재단의 프랭크 자누지 사무총장은 일본이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미·일동맹이 위험하다며 미 의회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누지 사무총장은 이날 아시아정책연구소(NBR)의 ‘동아시아 인권과 114대 의회’ 보고서를 통해 “과거에서 비롯된 인권 문제의 상처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나 새로운 미·일 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같은 문제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사 문제의) 핵심 사안은 일본 당국의 부추김에 의해 이뤄진 성노예 강제동원”이라고 지적한 뒤 “아베 정부에서 고노 담화의 사실 근거를 재검증하겠다고 나서는 등 일본 정부의 여러 움직임을 주변국에서 역사 수정과 책임 최소화 시도로 해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의 상원의원 시절 보좌관 출신인 자누지 사무총장은 워싱턴DC의 대표적인 동아시아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이종선 기자
bwbae@kmib.co.kr
“고노담화 정부 방침 아니다”… NHK회장 또 망언
입력 2015-03-07 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