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트 美 대사 테러] 민화협 “돌발사태 대책 미흡, 양국에 사과”

입력 2015-03-06 02:39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지도부가 5일 서울 종로구 민화협 사무실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 사건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이 5일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이번 사건으로 창립 17년 만에 최대 위기에 몰린 민화협은 즉각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경찰수사 협조를 비롯한 사후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민화협은 오후 긴급성명을 내고 “한·미 양국 정부와 국민 여러분에게 김기종의 테러 행위를 막지 못한 데 대해 사과드린다”며 “이 불행한 사건과 관련해 저희가 져야 할 어떤 책임도 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화협은 또 과거 수차례 위험한 행동을 했던 김씨가 대표로 있는 ‘서울시민문화단체연석회의’가 수년간 회원으로 가입돼 있었다는 사실도 스스로 공개한 뒤 “징계·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영만 민화협 홍보위원장은 “김씨가 사전등록이나 현장등록 없이 행사장에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씨가 흉기를 소지한 채 행사장 안으로 들어온 것에 대해 김 위원장은 “행사장 관리 등이 통상적 절차로만 진행돼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민화협은 1998년 9월 3일 결성된 시민단체로 우리 측의 대표적 통일운동단체들의 연합조직이다. 북한은 1998년 6월 민간교류 협의체인 민족화해협의회를 결성, 같은 해 8월 15일 판문점에서 민족의 화해와 단합을 위한 대축전을 개최하자고 우리 정부에 제의했다. 당시 김대중정부는 이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1998년 7월 민족의 화해, 평화, 통일을 위한 대축전 남측본부를 결성했다. 그러나 결성 초기 정당 및 보수 시민·사회단체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판적 여론이 제기돼 소위 진보, 보수 사회단체와 정당을 모두 포괄하는 민족화해 범국민협의회 결성을 추진하게 됐다. 민화협은 그동안 남북문제에 대한 국민적 합의와 화해협력,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사업과 대북 인도지원 사업을 추진해 왔다.

최승욱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