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트 美 대사 테러] 국회 외통위 긴급 소집 “한·미 동맹 더욱 견실히 하는 계기 되길 희망”

입력 2015-03-06 02:43
경찰이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에 대한 기습 테러가 발생한 5일 서울 세종로 미국대사관 주변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정부는 테러 사건 직후 미국대사관 경비 인력을 늘리는 등 경계를 강화했다. 이병주 기자

5일 오후 긴급 소집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은 우리 정부의 후속 조치와 미국 정부의 반응 등을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나경원 외통위원장은 “지난 62년간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함께 손잡고 걸어온 미국 대사를 대상으로 한 테러는 한반도 평화에 대한 테러”라고 강력 규탄했다. 그러면서 “세계적으로 굳건한 한·미 관계가 극단적 사고를 가진 한 사람에 의해 흔들릴 만큼 취약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미동맹을 더욱 견실히 하는 계기로 승화·발전시키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조태용 외교부 1차관은 “(수술을 마친) 리퍼트 대사로부터 고통스럽지만 잘 견디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며 “미국 정부에 상황을 적시에 설명하고 긴밀한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이어 “미국 정부는 테러 사건 발생 후 한국 정부가 후속 조치 등을 신속하게 알려주는 데 대해 사의를 표했고, 이번 사건으로 한·미동맹에 영향이 없도록 협력하자는 입장을 전달해 왔다”고 덧붙였다.

테러 당시 현장에 있었던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은 “정부는 외교사절에 대한 경호 시스템에 허술함이 없었는지 철저히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치안불안 국가로 인식될 우려가 있다”며 대책을 주문했다. 국회 차원에서 테러 방지 관련 입법 조치에 미흡한 점이 없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새누리당 김영우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놓은 논평 중 ‘극단적 민족주의자의 돌출행동’이란 표현을 문제 삼았다. 김 의원은 “아무리 ‘극단’이라는 말을 붙이더라도 김기종씨는 민족주의자라고 할 수 없다”며 “개인적 돌출행동인지는 조사를 해봐야 아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새정치연합 김성곤 의원은 “이번 사건을 너무 정치적으로만 확대하면 한·미 관계에 더 부담을 줄 수도 있다”며 “당사자의 인격적인 문제도 중요한 팩트”라고 맞받았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