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지역활동 ‘사회서비스 일자리’로… 서울시 올해 여성정책 발표

입력 2015-03-06 02:58

따뜻한 손길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면서도 경제적 보상 없이 자원봉사 수준에 머물러온 여성들의 지역활동이 지속 가능하도록 서울시가 다양한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우선 2018년까지 새로 확충되는 국공립어린이집 중 100곳, 신설되는 어르신 돌봄 데이케어센터의 10%를 여성이 참여하는 협동조합 등에 위탁해 운영하기로 했다. 또 결식아동 급식지원도 여성 주도의 마을·사회적 기업이 참여해 엄마의 따뜻함이 깃든 ‘집밥’으로 바꾼다.

아울러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을 교육서비스와 연계시킨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고 매점, 수학여행, 교복 등 학교 기반의 협동조합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앞두고 ‘서울의 삶을 바꾸는 여성’이라는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2015년 여성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시는 현재 여성이 지역 활동 참여자의 78.7%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향후 여성정책 해법을 ‘마을공동체’와 ‘사회적 경제’에서 찾기로 했다.

우선 보육분야에서 ‘서울형 카라박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박 시장이 2012년 직접 볼로냐를 방문해 벤치마킹한 이탈리아의 카라박 프로젝트는 지역 여성들이 협동조합을 이뤄 어린이집 보육과 급식, 집수리 등 마을의 문제를 사회적 경제로 해결하는 모델이다. 볼로냐의 여성고용율은 64%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어르신 돌봄은 서울시가 2018년까지 확충할 계획인 노인요양을 위한 데이케어센터 100곳 중 10%를 사회적협동조합에 위탁한다. 아울러 여성들이 건강과 영양균형을 맞춘 집밥 형태로 결식아동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집밥 프로젝트’는 올해 서대문구에서 시범실시한 후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1인 여성가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먹거리, 건강, 생활력을 공유하고 서로 돕는 ‘1인가구 커뮤니티’ 구성도 지원한다. 홍익대 지역의 ‘그리다 협동조합’이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시는 여성발전기금 등을 통해 2018년까지 20개 공동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마을공동체 사업의 모범사례인 ‘부모커뮤니티’와 ‘공동육아단체’도 2018년까지 각각 300개와 100개가 결성되도록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지역활동 여성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 기반 시설로 2018년까지 모든 동주민복지센터에 ‘여가사랑방’(가칭)이 생기고, 권역별 허브시설도 차례로 문을 연다. 마을의 평범한 여성들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학과 연계해 사회적 경제 기업 MBA 교육과정도 운영한다.

박 시장은 “여성의 마을활동이 일자리로 연결되는 정책을 통해 좋은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수요를 해결하며 마을경제도 활성화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