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잡히는 책]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허둥댄 日 관료들

입력 2015-03-06 02:40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46분, 동일본에서 대지진이 발생했다. 그 여파로 후쿠시마에서 원전이 폭발했다. 대지진 발생 이후 일본 총리 관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일본의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사고 발생 직후부터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의 사고대책통합본부가 세워진 15일 저녁까지의 ‘100시간’에 주목했다. 저자는 서문에서 “논평과 추측은 배제하고 오로지 팩트로만 말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원전 사고의 초동 대응을 맡게 된 것은 당시 간 나오토 총리가 이끄는 총리 관저였다. 하지만 긴급 상황에서 원자력 관련 관료 조직이 피난경로 예측시스템(SPEEDI)조차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피해를 키웠다. 원자로 폭발은 없다고 장담하며 대책을 세우지 않은 전문가 집단의 무능을 적나라하게 파헤쳤다. 사태 해결보다는 현장 철수에만 급급한 도쿄전력의 무책임도 생생하게 드러났다.

지난해 4월, 한국 사회도 큰 재난을 겪었다. 세월호 침몰 사고다. 일본 재해가 자연에 따른 것이었다면 한국의 재해는 인간의 탓이었기에 안타까움이 더했다. 당시 한국 정부는 효율적으로 대처했는가. 청와대나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의 시간을 다룬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2022년까지 연장 운영될 수 있는 길이 열린 월성 1호기는 과연 안전한가. 이런 점에서 이 책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정문주 옮김.

이광형 문화전문기자 g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