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도록 한국교회와 정부가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설득해야 합니다.”(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한국교회는 통일 이후의 ‘사람의 통일’을 준비해야 합니다.”(주도홍 기독교통일학회 명예회장)
광복·분단 70년을 맞아 기독교통일학회(회장 오일환)가 최근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사랑의교회에서 마련한 특별학술 심포지엄(사진)에서는 한반도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교회와 정부의 다양한 역할이 모색됐다.
‘통일을 위한 국가와 교회의 역할’을 주제로 발제한 정성장 수석연구위원은 “현실적으로 가까운 미래에 통일이 실현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면서 “북한에 ‘종교의 자유’가 확보되도록 교회와 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에 스탈린식 절대 독재정권이 지속되는 한 앞으로도 북한 내에서 종교의 자유 허용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한국교회는 대북 인도적 지원을 펼쳐나가는 동시에 북한 당국에 선교와 믿음의 자유를 허용하도록 설득하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교계 안팎의 통일 전문가들은 ‘영적 통일’ ‘통일인재 양성’ 등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기독교통일학회 명예회장인 주도홍 백석대 교수는 기조 강연에서 “국가가 정치·경제 등의 영역에서 통일을 준비한다면 교회는 영적이면서 정신적인 분야에서 준비를 해야 한다”면서 ‘사람의 통일’을 강조했다.
이수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남북한 통일 초기에는 국가가 책임질 수 없는 북한 주민들의 심리적 상처 치유를 위한 문화·정신적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별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축사자로 참석한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정부는 건전한 단체들을 대상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직접 갈 수 있는 보건·복지사업이나 인도적 접촉 등은 허용한다는 입장”이라며 “새로운 동북아 질서를 위한 교회와 성도들의 기도와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한국교회는 통일 이후 ‘사람의 통일’ 준비해야”… 기독교통일학회 특별학술 심포지엄
입력 2015-03-05 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