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지역경제진흥원 주최 ‘대한민국 귀농·귀촌 한마당’ 조직委 출범

입력 2015-03-04 02:10
3일 국민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한민국 귀농·귀촌 한마당 2015’ 조직위원회 발대식에서 참석자들이 ‘농어촌,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왼쪽 여섯 번째부터 김우남 조직위원장, 안경률 지역경제진흥원 이사장, 최삼규 국민일보 사장. 서영희 기자

국민일보와 지역경제진흥원이 공동 주최하는 ‘대한민국 귀농·귀촌 한마당 2015’ 조직위원회가 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대회의실에서 발대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다.

‘대한민국 귀농·귀촌 한마당 2015’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귀농·귀촌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조직위원장은 김우남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이 맡았고 고문단에는 새누리당 장윤석 이종배 윤명희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최규성 황주홍 의원이 위촉됐다.

김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농업과 농촌에 소득, 문화, 복지, 미래가 없으면 귀농과 귀촌이 활성화될 수 없다”며 “조직위원회가 공동화되고 있는 농촌을 소득, 문화, 복지, 미래 희망이 있는 곳으로 만들어나가는 데 모든 가치의 중심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대회장을 맡은 최삼규 국민일보 사장은 “이농에 따른 농어촌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시점에 귀농·귀촌 한마당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고 농촌 문제가 정책과제에 편입되도록 함께 고민하는 것은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라며 “꼭 힘을 합쳐 성공시켜서 농촌을 약속의 땅, 희망의 땅으로 바꿔가자”고 강조했다. 안경률 지역경제진흥원 이사장도 “산업화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어려움을 겪은 농촌에 귀농·귀촌이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다”며 전국 곳곳에서 귀농·귀촌 활성화 모임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김학모 조직위 부위원장이 주제발표를 통해 최근 귀농·귀촌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제주 지역에 귀농·귀촌 정착 시범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 부위원장은 “현재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는 귀농 중심이어서 귀촌인이 배제되고, 지역주민과 단절되는 문제가 있다”며 “관 주도형 지원센터보다는 마을 주민이 직접 운영하고 귀농·귀촌인이 참여하는 시범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제주 지역 귀농·귀촌 가구는 2010년 97가구에서 2014년 2165가구로 22배 증가했고 귀농·귀촌 인구도 2010년 245명에서 지난해 3522명으로 14배 늘었다.

귀농·귀촌 한마당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자치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가 후원하며 오는 26∼2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전시관은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정책홍보관, 60개 지방자치단체의 귀농·귀촌 상담관, 대한주택건설협회의 전원생활관, 한국지역진흥재단의 지역특산물 직거래장터로 구성된다. 한마당 참가 신청은 오는 13일까지 선착순으로 받는다(02-781-9051, 9237).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