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2호선 지상구간 지하화 추진… 경관 해치고 소음·진동 민원 많아

입력 2015-03-04 02:05

서울시가 지하철 2호선 지상구간을 지하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호선 지상구간은 전체 노선(60.2㎞)의 약 30%로 그동안 지역을 단절하고 토지 이용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하화될 경우 주변 개발과 생활 여건 개선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수조원으로 추산되는 건설비용이 사업 추진의 최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도시철도 지상구간 지하화를 위한 정책 방향 구상에 본격 착수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시내 지상·고가 철도는 경부·경원·경인선 등 국철구간을 포함해 9개 노선 총 81.9㎞지만 시가 관리하는 도시철도 중 2호선 구간에 대해 우선 시범적으로 타당성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중심 시가지를 통과하는 2호선 구간은 철도 구조물로 인한 도시 경관 저해와 소음·진동으로 인한 민원이 3호선(금호∼압구정), 4호선(창동∼당고개, 동작∼이촌), 7호선(청담∼건대입구)에 비해 많아 우선 검토에 들어가게 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타당성 검토 대상은 2호선 순환선인 한양대∼잠실(8.02㎞), 신도림∼신림(4.82㎞), 영등포구청∼합정(2.5㎞)과 지선인 신답∼성수(3.57㎞) 등 4개 구간 총 18.9㎞다. 이 구간에는 13개 역이 있다.

1975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과학기술원)가 실시한 지하철 2호선에 대한 기술·타당성 조사에서는 기술력 부족, 건설비용 감축 등을 이유로 지금처럼 일부 구간에 고가철도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이 결정됐었다.

시는 4월 중으로 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해 내년 7월까지 지상통과에 따른 문제점 분석, 지하화 기본구상, 기술적·경제성 분석 및 사업추진 방안, 시공성, 지역주민의 접근성, 민원발생 최소화, 구간별 사업우선 순위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타당성 조사를 통해 교통 및 환경적 편익과 파급효과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지하화에 대한 당위성과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도시철도 지상구간 지화화는 지역 발전에 대형 호재지만 사업비용이 2호선 만해도 수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당장 현실화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지금은 사업 타당성과 소요 예산 등 지하화에 따른 제반 사항을 검토하는 단계이며 사업 추진 여부나 시기 등은 용역 결과를 보고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훈 시 도시계획국장은 “주변 지역과의 통합적 도시재생 전략을 마련하고 사회적 합의 과정을 거쳐 도시철도 지하화에 대한 정책방향을 구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