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진보 교육감으로 기대를 모았던 박종훈(사진) 경남도교육감이 새학기를 맞아 잇따라 측근들을 요직에 앉히면서 코드인사 논란에 휩싸였다.
박 교육감의 코드인사 논란은 지난달 발표한 교육전문직원(장학사) 최종 합격자 중 박 교육감의 측근으로 꼽히는 4명이 초·중등 전문영역에 선발되면서 불거졌다.
경남교원단체총연합회는 성명을 통해 “박 교육감 취임 후 도교육청으로 파견된 교사 4명 중 3명이 교육감 선거당시 인수위원회에 관련됐었고, 1명은 측근으로 분류되는 사람”이라며 “‘전문유형’이라는 별도의 유형을 만들어 채용한 것은 특정인을 염두에 둔 것으로 형평성에 위배되는 인사권 남용”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감의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자는 취지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육전문직을 선발했다”며 “직무수행계획발표 항목 등을 추가하는 등 전형방법도 더 강화해 엄선했다”고 해명했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박 교육감의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던 황선준(57)씨를 경남도교육연구정보원장에 지난달 26일 임명했다.
3급 상당(연봉 7500만원), 임기 5년인 이 자리는 그동안 일반교원들 중 교육감이 임명하는 자리였으나 이번에는 개방형 직위 공모를 통해 선발했다.
도교육청은 또 특수감사를 담당할 5급 사무관에 박 교육감과 친분이 있는 체육교사 출신 이민재(55)씨를 임명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특수감사 선발에 대해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필수요건과 선택요건 가운데 ‘표창 받은 자’와 ‘감사·법무·수사·조사·평가·기획 등 관련업무에 5년 이상 근무한 자’를 고려해 인선했다”며 “그동안 교사로서 학생들을 평가해 왔기 때문에 관련분야 실무경력으로 폭넓게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박 교육감과 함께 오랫동안 전교조 활동을 한 이씨는 감사 분야와 관련해 특별한 경력이 없는 평교사 출신이다. 그동안 감사직은 변호사나 국가기관 회계, 교육기획 업무 경험자로 자격이 국한됐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2년 이상 국가기관이나 교육청 소속·직속기관에 근무한 자로 채용조건을 완화시켜 감사직을 뽑았다.
도교육청은 이와함께 박 교육감이 대표로 있었던 경남교육포럼의 한 여직원을 도교육청 정책기획관실 6급 별정직(월 200만원 상당)에 채용했다. 장학사 선발에 이어 측근 인사 논란이 가열되는 이유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객관성을 높이고자 공모제로 전환한 교육연구정보원장과 감사담당관 인사가 낙하산 인사를 하려는 핑곗거리로 변질했다”며 “박 교육감은 공모제 간부직원의 심사결과를 도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 의혹을 불식시켜아 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장학사·특수감사·별정직… 朴 경남교육감 ‘코드인사’ 시끌
입력 2015-03-04 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