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중반 이후 물러난 생명·손해보험협회장들이 퇴직금과 별도로 2억∼3억5000만원씩 전별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데도 거액을 지급한 것이 적법하냐는 지적과 함께 이들 대부분이 경제부처 관료 출신이란 점에서 금융 당국의 묵인 내지 방조가 있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협회 회원기업들에 일정액을 할당해 전별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고객 돈으로 돈 잔치를 한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협회가 “다른 금융업종에 비해 퇴직금이 워낙 적어 업계가 관행적으로 마련해 왔다”고 해명한 것은 궁색하기 짝이 없다. 지난달 초 퇴직한 금융투자협회장도 퇴직금 외에 1억9000여만원을 받았다. 금융투자협회 노조가 최근 “퇴직 임원에 대한 지나친 전관예우를 개선하라”고 촉구하는 성명을 낼 정도로 조직 내부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생보협회는 전별금 논란을 피하기 위해 퇴직금을 몇배 늘려 지급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고쳐 ‘꼼수’라는 비판을 받았다. 과도한 전별금은 고객들의 돈이 허투루 쓰인다는 점에서 철저한 감독과 감시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오히려 금융 당국이 이를 부추긴다고 주장한다. 만약 사실이라면 철저히 규명돼야 할 사안이다. 금융 당국이 관료 선배들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해주는 전관예우의 또 다른 행태이기 때문이다. 이는 전형적인 관피아의 폐해다.
전별금이란 같이 근무하다가 떠나는 사람에게 아쉬움의 표현으로 주는 돈이다. 한때는 미풍양속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사라지는 추세다. 설혹 주고받더라도 떠나는 길에 쓸 노잣돈 액수에 불과하다. 중산층은 꿈도 못 꾸는 수억원의 연봉을 수년간 받고도 퇴직때 다시 거액을 챙긴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다. 관련 협회나 기관들은 국민정서와 전혀 맞지 않는 관행을 고집할 경우 엄청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겠다.
[사설] 생보·손보협회장에 수억원대 전별금까지 줬다니
입력 2015-03-04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