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근로자들의 ‘서울살이’… 하루 11시간 일해 月 189만원 번다

입력 2015-03-03 02:06

다문화인구 100만 시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 사는 외국인근로자의 삶은 어떨까. ‘일이 고되고 임금 수준은 낮지만 생활환경에 대체로 만족하고 더 체류하고 싶다’로 요약된다.

서울시가 2일 발표한 ‘서울거주 외국인주민 생활환경’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근로자의 서울 생활환경에 대한 종합만족도는 5점 만점에 3.57점으로 ‘다소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조사는 지난해 12월 15일∼올해 1월 14일 외국인근로자 7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2.7%는 체류기간 연장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이들의 근로시간은 하루 평균 11시간, 급여는 한달 평균 189만7000원이었다. 급여분포는 151만∼200만원이 47.8%로 가장 많았고 201만∼250만원(24.8%), 100만∼150만원(15.3%), 250만∼300만원(7%) 순이었다. 거주하는 주택형태는 단독주택, 연립·다세대·빌라 등 보증금 있는 월세가 63.7%로 가장 많았다. 전세 보증금은 2000만원 미만, 월세는 20만∼40만원이 대부분이었다.

외국인근로자의 건강보험 가입률은 41.5%로 절반에도 못미쳐 다수가 의료서비스 사각지대에 있었다. 미가입 사유로는 비싼보험료(42.7%), 건강해서(16.7%)를 꼽았다. 외국인 의료환경의 불편한 점으로는 높은 진료비용(45.5%), 의료기관 정보 부족(28.6%), 외국인주민 전담병원 등 부족(26.7%), 외국어 서비스 부족(14.2%) 등으로 나타나 국제도시 위상에 걸맞은 외국인 의료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초기 정착단계의 어려움으로는 의사소통(46.2%)과 편견·차별(40.1%)을 꼽았다. 외국인근로자들이 생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주위사람을 통해’(64.4%)가 가장 많았다. 정보 습득의 불편한 점으로는 ‘필요한 정보를 찾기 어려움’(42%), ‘정보가 정확하지 않음(15.1%)’, ‘최신 정보인지 알 수 없음’(12.1%) 등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주민에게 가장 필요한 서울시 정책으로는 주거, 의료 등 기본 생활안정 정책, 조기정착 교육(한국어 교육 등) 및 상담, 일자리 지원 정책이 꼽혔다. 향후 참여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취업교육이 53.2%로 가장 높았고 한국문화풍습(24.6%), 한국요리강습(19.7%), 한국어교육(14.6%)이 뒤를 이었다. 외국인근로자 10명 중 8명은 최근 1년내 문화·체육행사를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지난해 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 통계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41만5059명이고, 그 중 단순노무·장치기계 및 조립·서비스·판매 등에 종사하는 외국인근로자는 8만9620명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