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임시직 실질임금 4년 만에 감소… 정부 가계소득 증가대책 실종

입력 2015-03-02 02:19

임시직 근로자의 지난해 실질임금이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임시직은 일용직과 고용기간 1년 미만 비정규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용직·임시직을 포함한 전체 근로자의 실질임금 상승률도 3년 만에 가장 낮았다.

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5인 이상 사업체의 임시직 근로자 실질임금은 월평균 127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명목임금은 다소 상승했지만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임금은 하락했다는 의미다.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0년 -4.4% 이후 처음이다.

전체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월평균 292만6000원으로 1.3% 올랐지만, 2011년 -2.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상용직의 지난해 월평균 실질임금(309만8000원)도 상승률을 보면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1.1%를 기록했다.

문제는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최근 6년간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웃돈 때는 2012년 한 번뿐이었다. 이 기간 연평균 실질임금 상승률은 1.3%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3.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런 상황이지만 정부의 가계 소득 증대방안은 올해 자취를 감췄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해 7월 취임 직후 가계소득을 늘리겠다고 공언하고, 가계소득 증대를 위한 3종 세제 세트를 내놨다. 그러나 올해 경제 정책 방향을 구조개혁으로 선회한 뒤에 소득 증대 후속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 소득 증대 3종 세트의 실효성은 아직 의문이고, 효과가 있다고 해도 2016년도부터 발생한다. 세종=윤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