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시대를 대표할 신소재를 창조해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가겠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지난 27일 전남 여수공장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미래 성장의 핵심으로 ‘소재’를 꼽았다. 박 부회장은 “2018년 세상에 없던 소재들을 가장 먼저 상용화할 것”이라며 “소재로 미래 승부를 건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부회장이 꼽은 대표적인 미래소재는 무기소재와 태양전지·연료전지용 소재, 기존 배터리의 에너지 저장능력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전지 등이다. 특히 400∼500㎞를 달릴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도 멀지 않은 시기에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LG화학은 미래소재 분야를 2020년에는 매출 1조원 이상, 2025년에는 10조원 이상 사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박 부회장은 구체적으로 어떤 소재냐는 질문에 “남들이 안 한 것, 남들이 안 한 방법으로 개발 중이고 조금씩 베일을 벗기겠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에너지 분야의 신소재 개발에 관심이 많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은 또 이미 사업화가 진행 중인 성장소재 분야 사업으로 EP(엔지니어링플라스틱)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수처리, 자동차용 배터리 등을 지목하며 시장 확대에 더욱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관련 분야 매출도 올해 6조원에서 2018년까지 12조원으로 2배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 분야에서만 2018년까지 누적으로 40조원을 벌어들이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를 위해 LG화학은 각 소재별 성장전략도 짜고 있다. EP는 자동차용 소재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2018년까지 세계 시장에서 3위 안에 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OLED 조명은 세계 최고의 광효율 제품 및 플렉시블 제품 등 차별화된 제품 출시를 앞당기고, 수처리 사업은 수처리 필터 전문 업체인 자회사 LG나노H2O가 올해 6월쯤 본격적인 제품 양산에 돌입한다. 자동차 배터리·ESS 배터리·웨어러블용 배터리 사업은 생산라인 확장과 수주 확대 등을 통해 수년 내 리튬이온 배터리 분야에서 경쟁사들이 넘볼 수 없는 확실한 1등으로 올라서게 할 계획이다. LG화학의 소재 분야 사업을 확대해 석유화학 제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가기로 했다. 박 부회장은 “현재 석유화학 제품의 비중이 75% 정도인데 2020년에는 석유화학 제품 60%, 새 사업 40%로 (사업 구성을) 채우려고 한다”고 말했다.
신소재 분야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연구·개발(R&D) 분야의 투자도 확대한다. LG화학은 이를 위해 연간 R&D 투자금액을 올해 6000억원에서 2018년 9000억원으로 50% 늘린다. 현재 3100명인 R&D 인력도 4100명 이상으로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월에는 무기 나노 소재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이진규 서울대 교수를 영입하기도 했다. 박 부회장은 “R&D가 강한 세계적인 소재 기업이야말로 오랜 꿈”이라며 R&D 역량 확충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
여수=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세상에 없는 미래 신소재 개발 2018년 세계 첫 상용화할 것”
입력 2015-03-02 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