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수명 연장-지역·정치권 반응] 주민 반발 속 “지원금 활용을” 현실론도

입력 2015-02-28 02:28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수명연장에 반대하며 총력투쟁을 선포한다.”

2년 이상을 끌어온 경북 경주 월성1호기 재가동 승인(계속운전) 여부가 27일 ‘수명연장’으로 결정되자 원전 인근 양남, 양북, 감포 등 동(東) 경주지역 주민들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동 경주대책위원회 신영해(63) 공동대표는 “신월성 1·2호기가 준공되고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양남면 나아리는 상가 50% 이상이 문을 닫았다”며 “1500명이던 주민 수도 800명으로 줄어드는 등 원전 인근 지역은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역”이라고 말했다.

이날 월성원전 홍보관 앞에서 규탄집회를 연 30여명의 주민들은 환경단체와 공동으로 대규모 시위 등 구체적인 투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들은 “정부가 설계수명 종료일인 2012년 11월 이전에 폐쇄 결정을 내렸어야 함에도 우유부단하게 대처해 지역사회의 불안감 조성과 소모적인 논쟁만 키워왔다”고 비난했다. 권영길 경주시의회의장도 “주민 수용성과 안전성 확보 없이는 수명연장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는데도 이런 결정을 택한 정부는 민심을 거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최양식 경주시장은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관련법에 따라 객관적인 검토로 결정한 사항인 만큼 대승적인 차원에서 수용한다”며 “주민 불안감 해소와 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이젠 지역사회가 충분한 실익을 챙겨야 한다는 현실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계속운전 결정 시 부여되는 정부의 원전 지역 지원금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일부 주민들은 “원전의 안전문제가 달린 만큼 반대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이젠 실익 부분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은 원안위의 월성1호기 수명연장 결정을 “명백한 날치기”고 규정하고 강력 반발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야당과 지역주민,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재가동을 결정한 것은 결국 정부 고위층 뜻이 반영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며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정의당도 탈핵에너지전환위원회 명의의 성명에서 “원안위 표결처리는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도록 한 원자력안전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수명연장 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법률을 위반한 원안위원장 탄핵 소추안을 즉시 제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성수 기자, 경주=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