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수명 연장] 고리1호기, 6월 재재연장 판가름… ‘퇴출’ 관측

입력 2015-02-28 02:48

한국 원자력발전소 역사의 ‘맏형’ 고리 1호기의 운명은 2차 수명 재연장 신청기한인 오는 6월 판가름난다. 최근 징후로는 결국 폐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폐로가 확정된다면 고리 1호기는 27일 재가동이 결정된 월성 1호기와 정반대의 길을 걷게 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부산시당·부산시 당정협의에서 “고리 1호기는 부산시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 같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리 1호기 폐로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부산시민 60% 이상이 원하는 숙원사업이다. 서병수 부산시장도 “저도 어느 정도 (폐로에 대한) 감은 잡고 있다”고 거들었다.

1978년 4월 준공된 고리 1호기는 국내에서 상업 가동된 첫 원전이다. 하지만 크고 작은 고장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폐로해야 한다는 주장이 줄기차게 제기됐다. 2014년까지 37년 동안 국내 원전 23기가 일으킨 고장 건수는 총 680여건으로 집계되는 가운데 고리 1호기의 고장이 130여건으로 19%를 차지하며 압도적 1위였다.

고리 1호기 건설공사는 당시 국내 건설사상 최대 규모의 사업이었다. 외국자본 1억7390만 달러와 국내자본 717억원 등 총 1560억원이 투입됐다. 국내에는 원전 제작 기술이 전무해 미국 원전 제작업체인 웨스팅하우스에 의해 턴키(일괄도급) 방식으로 제작됐다. 고리 1호기 준공으로 한국은 세계에서 21번째 원전 보유국이 됐다. 이후 월성, 영광, 울진 등에서 잇따라 원전이 지어졌다.

고리 1호기는 당초 설계수명 30년으로 지어져 2007년 6월 1차로 수명을 다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정부가 전력난을 이유로 수명을 2017년 6월까지 10년 연장하기로 결정했고, 안전성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특히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방사선 대량 유출 사고가 발생하면서 고리 1호기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졌다.

2012년 2월에는 원자로 내 비상디젤발전기가 가동 중단되면서 냉각장치에 전원 공급이 12분 동안 중단되는 사태가 터졌다. 국내외 환경단체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고리 1호기를 당장 폐로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불거졌다.

오는 6월까지 한국수력원자력이 계속운전 신청을 할 경우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수명 연장 여부를 결정하는 심의 절차를 밟는다. 원안위가 폐로를 결정하거나 한수원의 신청이 없으면 고리 1호기는 2017년 가동을 중단하게 된다. 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