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개 혁신도시에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지역인재 채용에 크게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에 따르면 전국 혁신도시 내 91개 기관이 지난해 1∼10월 3140명의 직원을 새로 뽑았으나 이 가운데 해당 지역출신은 214명으로 6.8%에 그쳤다.
가장 비율이 낮은 지역은 경북 김천 혁신도시로 244명 가운데 단 2명(0.8%)만 지역인재로 선발했다. 충북 진천·음성도 119명 가운데 2명(1.7%)만 채용했다.
지역인재 채용률은 울산 중구가 3%, 경남 진주 3.2%, 강원 원주는 4.1%에 그쳤다. 전북 전주·완주의 경우 10개 기관에서 514명의 채용이 이뤄졌지만 지역 출신은 8.8%(45명)에 불과했다.
더욱이 2012년 이후 3년간을 집계하면 이들 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률은 4.8%(1만932명 중 525명)로 더 낮아진다.
현재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의무채용은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의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과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 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가 마련돼 있지만 권고사항이어서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은 실정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관련 법률이 있으나 느슨한 권유 사항이다 보니 아무래도 지역 출신 채용 비율이 아직은 낮은 것 같다”고 말했다. 전북대 4학년 이모 씨는 “공공기관들이 지역대학과 MOU 체결, 지역취업박람회 개최 등을 하면서 지역인재 채용을 강조해 많은 기대를 했으나, 실제는 100명중 7명도 안되는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에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국회에 계류 중인 지역인재 의무채용 관련 법률을 서둘러 통과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협의회 소속 단체장들은 전날 전주에서 정기총회를 갖고 이 같은 의견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키로 결의했다.
이들은 정규직의 35%(계약직 50%)를 지역인재로 채용하고 이를 2019년까지 단계별로 시행할 것을 요구했다. 또 고졸사원 채용 시 혁신도시 소재 고등학교 출신을 분리해 공채하는 방안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공공기관과 300인 이상 기업의 신규 채용 시 35%를 해당지역 인재로 채용토록 의무화할 것을 주장했다.
혁신도시협의회장인 김승수 전주시장은 “어렵게 지역으로 이전한 혁신도시는 국토와 지방의 균형발전을 위한 것이었다”며 “균형발전은 산업은 물론 인재분야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전 기관들이 지역 인재 의무채용에 앞장서야 한다”며 말했다.
한편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했거나 이전 예전인 공공기관은 115곳으로 인원은 3만7848명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전국종합 ygkim@kmib.co.kr
작년 전국 10개 혁신도시 91곳서 214명 선발… 지방이전 기관 지역 채용 고작 6.8% ‘생색용’
입력 2015-02-26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