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당, 국정 주도하되 표심에 휘둘려선 안 돼

입력 2015-02-26 02:40
새누리당과 정부, 청와대는 25일 국회에서 정책조정협의회를 갖고 향후 주요 국정과제를 당 중심으로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 국무총리와 여당 원내대표가 교체되고 처음 열린 당·정·청 회의는 3자가 정책입안 단계부터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의제를 설정하고, 당이 홍보와 집행을 주도한다는 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정부의 결정 사항을 당에 전달한 뒤 협조를 당부하는 식으로 진행된 지금까지의 당·정·청 회의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 비서실, 내각이 정책혼선과 소통부재, 돌출발언 등으로 국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여당의 목청이 높아진 것은 나쁘지 않다. 당을 통해 국민의 생각을 적시에 수렴, 정책에 즉각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정부는 지난 2년간 각계 저변의 목소리를 애써 외면해온 게 사실이다. 정권 초기 특유의 어설픈 자신감에서 비롯된 잘못이다. 그 결과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반토막나고 말았다. 당이 국민과의 소통 능력을 무기로 청와대와 정부를 다그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이날 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2년 전 계획에서 계속 갖고 갈 것, 과감하게 수정할 것, 새롭게 할 것을 잘 생각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 것은 시의적절했다. 새 정부 출범 때 세웠던 계획을 점검하고 수정할 게 있으면 서둘러 수정해야 한다. 복지 구조조정과 증세 여부가 대표적인 예다.

다만 새누리당이 청와대와 정부를 견인하는 과정에서 표심(票心)에 휘둘리는 것은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 당으로서는 차기 선거를 의식할 수밖에 없겠지만 국가 장래에 대한 큰 그림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박 대통령은 4대 부문 구조개혁을 주요 국정과제로 제시한 상태다. 이런 개혁을 성공시키려면 피해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하다. 당은 이들의 의견을 진정성 있게 청취하되 억지 주장에 대해서는 당당하게 반박하고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친박(親朴) 3인방이 주도하는 정부와 비박(非朴)이 지도부를 장악한 여당이 불협화음을 빚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 지지를 얻는데 여권 내 주도권 싸움은 무의미하다. 당·정·청은 운명 공동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