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옐런 발언에 더 꼬여버린 금리 전망… 한은의 대응은?

입력 2015-02-26 02:52

당초 시장이 6월로 내다봤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일정이 또다시 늦춰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에 쏠리는 추가 금리 인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5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은 본점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열고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했으니 지켜봐야 한다”며 “(시기를) 예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미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옐런 의장의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었다. 이어 이 총재는 “옐런 의장의 어제 발언은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인내심’이라는 단어가 빠져도 반드시 6월에 금리가 인상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당초 시장에는 미국이 오는 6월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예상이 팽배했다. 그러나 옐런 의장이 청문회에서 “앞으로 최소 두 차례의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선제적 안내 문구 변경이 금리 인상으로 반드시 이어진다는 신호로 읽혀서는 안 된다”고 밝히며 혼란에 빠졌다. 받아들이기에 따라 6월 인상 또는 9월 이후 인상으로 읽힐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올해 FOMC는 오는 3월, 4월, 6월, 7월, 9월, 10월, 12월에 각각 예정돼 있다.

그러나 미국 뉴욕 증시는 금리 인상 연기에 더 무게를 뒀다. 2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는 전날보다 5.84포인트(0.28%) 상승하며 2115.49를 기록했다. 다우지수 역시 92.54포인트(0.51%) 상승하며 1만8209.38로 마감했다. S&P500과 다우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상 최저 수준인 2.0%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한은은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커지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도 “향후 미국의 금리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에서 외국 자본이 급격히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최악의 경우 외환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은은 미국의 금리 정책을 살피며 보조를 맞추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금리를 더 낮춰야 한다는 압력이 있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시권에 들어온 상황이라 여의치 않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 배경이다.

그러나 6월이 아닌 9월 또는 내년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가 늦춰진다면 한은에 쏠리는 금리 인하 압박을 무작정 외면하기만은 어렵다.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소비·투자 심리를 일깨우려면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정치권과 학계·재계 일부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도 지난 24일 국회 기획재정위 업무보고에서 “당분간은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며 “한은 통화정책의 우선순위를 경제회복세를 지원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