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랜드가 정규직 전환을 앞둔 계약직 직원들에게 무더기로 계약 해지를 통보해 폐광지역이 술렁이고 있다.
강원랜드는 다음 달 24일 계약이 만료되는 직원 152명에게 최근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들은 2년 전에 채용된 288명의 계약직원 가운데 절반에 해당한다. 또 5월 26일에는 추가로 계약이 만료되는 계약직 177명 중 92명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강원도 폐광지역 4개 시장·군수협의회는 이날 정선 고한읍사무소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강원랜드 계약직의 계약 해지 철회를 요청하는 건의문을 채택했다.
협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계약 해지되는 대부분의 직원들이 열악한 환경 속에서 성장해 온 폐광지역의 자녀들임을 십분 이해해 주길 바란다”면서 “계약 해지일 이전에 정원을 추가 승인해 줄 것을 간곡히 건의드린다”고 호소했다.
시장·군수협의회 회장인 김연식 태백시장은 “중앙부처와 국회 등 정치권의 협조를 이끌어 내겠다”고 밝혔다.
정선 고한사북남면 지역 살리기 공동추진위원회도 이날 오전 비상회의를 열어 성명서를 채택하고, 이를 기획재정부에 보내기로 했다.
앞서 강원랜드 노조도 21일 성명을 내고 “정부 허가를 얻어 카지노를 증설하고도 2년이 지난 시점까지 정부로부터 인력정원 증원을 확보하지 못했다”면서 “고용불안을 야기 시킨 정부를 강력히 규탄하며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물리적인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강원랜드가 카지노 증설에 따라 인력을 대거 충원했지만, 기재부로부터 인력증원 승인을 받지 못한 게 발단이 됐다. 또 강원랜드의 주무부처는 산업통상자원부, 카지노 등 핵심 사업 인·허가는 문화체육관광부, 정원관리는 기재부가 담당하는 기형적인 업무구조도 이번 사태에 영향을 끼쳤다.
해고가 통보된 직원들은 2013년 카지노 증설에 따라 채용한 직원들로 그동안 실무교육과 인턴과정을 거쳐 정규직과 동일한 수준의 업무를 수행해 왔다. 강원랜드는 통상 계약기간 2년 경과 후에는 교육생 신분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왔다. 그러나 강원랜드가 올해 기재부에 339명의 증원을 요청했지만 승인은 45명만 이뤄지면서 대량 해고사태를 맞게 됐다.
함승희 강원랜드 대표이사는 이날 오전 긴급간부회의를 열고 294명의 정원을 늘려줄 것을 기재부에 강력히 요청하기로 했다. 함 대표이사는 “평가를 통과한 계약직 직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것이 공기업의 신뢰확보를 위해 당연하다”면서 “전 임직원들이 정원확보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폐광지역 뒤흔든 강원랜드발 계약해지 ‘후폭풍’… 2년 전 채용 절반 152명에 “집으로”
입력 2015-02-24 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