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째 갈등을 빚어온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의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가 그동안 반대만 해오던 구미시의 입장 변화로 새 국면을 맞았다. 하지만 대화를 통한 사태해결 기대에도 불구하고 두 도시의 손익계산이 엇갈려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남유진 구미시장은 지난 17일 대구시청을 방문해 기자회견을 열고 두 도시 학계·전문가·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대구시는 이를 종전보다 진일보한 변화라고 평가하며 구미시와의 적극적인 논의 의사를 밝혔다.
두 도시의 취수원을 둘러싼 물싸움은 2009년부터 시작됐다. 대구시는 구미공단 아래쪽에 위치한 매곡, 문산 취수장 등에서 상수도를 공급받았다. 하지만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 등 잦은 오염사고로 인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자 식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옮기기를 원했다. 하지만 현재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지류에 있는 해평광역취수장을 식수원으로 쓰고 있는 구미시는 수자원 부족과 수질관리 어려움 등을 이유로 취수원 이전 및 공동 사용을 강하게 반대해 왔다.
구미시의 제안으로 대화의 물꼬는 텄지만 두 도시의 미묘한 입장차는 여전하다. 대구시는 최근 공개된 국토부의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보고서’에서 대구권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해도 물 부족, 수질 영향 등의 문제가 거의 없다는 평가가 나오자 취수원 이전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구시는 또 구미 해평취수장 부근 이전 방식과 강변여과수 개발 방식이 가장 실현가능성이 높다는 국토부의 의견에도 동의하고 있다. 국토부는 해평취수장 이전 방식은 취수장 1곳과 55㎞ 길이의 관로가 필요하고 사업비는 33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강변여과수 개발방식은 여과수 개발과 함께 56㎞ 길이의 관로가 필요하며 사업비 4900억원이다.
하지만 구미시는 대구시와 국토부의 안뿐만 아니라 구미시가 제안한 안들도 백지상태에서 함께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때문에 구미시가 대구시·국토부의 안을 사실상 인정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대구취수원구미이전 구미시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는 국토부의 용역이 개발비용도 제멋대로인 부실한 조사용역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대구경북녹색연합도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2개의 안 모두 신뢰성, 비용, 안전성 등에 문제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상황이 많이 변했고 구미시가 국토부 안을 수용할 경우 인센티브 등의 이점도 있어 해결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 취수원 이전 6년 갈등… 해결 물꼬 트나… 반대하던 구미시 ‘民官協’ 제안
입력 2015-02-24 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