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불평등은 커지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워싱턴대 스티브 로즈(Steve Rose) 교수의 연구를 인용해 많은 사람이 2008년 금융위기로 소득 불평등이 심화됐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보도했다. 오히려 2007년 최고조에 달했을 때보다 완화됐다는 것이다.
우선 부자들의 소득 감소가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위기 전인 2007년 미국 내 상위 0.01%의 세전 소득(pretax income)은 평균 3940만 달러였다. 2009년엔 2100만 달러까지 떨어졌다 2012∼2013년(평균치) 2920만 달러로 일부 회복됐으나 2007년과 비교하면 26%나 줄었다. 전체 소득계층 가운데 하락률이 가장 높았다. 주식시장 붕괴로 관련 소득이 줄어든 것 등이 영향을 미쳤다. 같은 기간 소득하위 90% 계층의 소득은 13% 감소하는 데 그쳤다.
더불어 정부가 세금을 깎아주고 중산층·저소득층에 혜택을 주면서 소득 차이가 줄었다. 2011년 소득 상위 1%의 세전 소득은 2007년에 비해 30% 감소했다. 세후(after tax&transfer) 소득 역시 27% 감소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하위 90%의 세전 소득 감소는 14%였지만 세후를 고려하면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계층을 5단계로 구분했을 때 중간층의 소득은 2% 떨어지는 데 그쳤고, 최저 소득층의 수입은 2% 늘었다.
로즈 교수는 논문에서 “부자들이 중산층이나 저소득층보다 더 높은 연방세율(federal tax rate)을 적용받지만 실업보험 등 연방정부 혜택은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부자들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말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월드 이슈] 美, 2008년 금융위기 거치며 소득불평등 완화
입력 2015-02-24 02:21 수정 2015-02-24 0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