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설 연휴 중 구제역·AI 확산 방지에 각별한 경계를

입력 2015-02-17 02:02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막기 위해 16일 하루 동안 전국 일제소독이 실시됐다. 민족 대이동을 앞둔 특별방역대책이다. 연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 중 사람과 차량에 의한 가축질병 전파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일제소독은 연휴가 끝난 다음 날인 23일에도 이뤄진다. 연휴 중에는 주요 도로에서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해 축산 관련 차량뿐만 아니라 농장 방문 귀성차량에 대해서도 소독을 실시한다. 당국에 비상이 걸린 만큼 철저한 방역조치와 대비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번 구제역은 지난해 12월부터 전국 21개 시·군에서 발생해 9만 마리가 넘는 돼지가 매몰처분됐다. AI는 지난해 9월 이후 80여개 농장에서 발생해 260만 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됐다. 구제역과 AI가 발생할 때마다 매번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로 방역망이 뚫리곤 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당국은 발병 원인과 확산 경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예방백신 접종을 장려하고도 실제 접종 및 항체 형성 여부는 확인하지 않는 우를 범했다.

구제역 백신 효능을 둘러싼 논란마저 제기되고 있다.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이 발생하자 농가들이 기존 백신을 불신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최근 도입한 신형 백신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기존 백신과 병행해 신형 백신을 공급하기로 했는데 철저한 검증을 통해 우리 축산농가에 맞는 백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안이한 인식을 바꿔 농가의 얘기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

농가의 방역 의식도 필수적이다. 강원도 철원군 농장의 경우 구제역이 발생한 세종시의 돼지농장에서 새끼돼지들을 들여온 게 확인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무분별한 가축 이동은 농가 스스로는 물론 지역경제에 커다란 피해를 입힌다는 점을 자각해야 한다. 축사 내외부를 수시로 소독하고 이동제한 조치를 지키는 등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하는 이유다. 설 연휴에는 국민의 이해와 협조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고향방문길에 다소 불편하더라도 방역에 적극 협조하고 축산농장과 철새 도래지 방문은 자제해야 한다.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함께 농가·국민의 전폭적인 협력이 있어야만 바이러스와의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