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대장금’에서 장금이가 임금에게 올리는 음식을 준비하던 궁중의 부엌 소주방(燒廚房)이 복원 공사를 마치고 100년 만에 다시 문을 연다.
문화재청은 조선시대 임금 수라와 궁중잔치의 음식을 준비하던 경복궁 내 소주방 복원을 지난달 마무리했다면서 내부 생활용품을 재현하고 궁중음식 활용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 오는 5월 궁중문화축전 기간에 일반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소주방은 1395년 경복궁 창건 이후 궐내 제반 시설을 정비하면서 들어섰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됐다. 고종 2년(1865년) 경복궁 재건 당시 다시 지었지만 일제강점기인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를 개최하면서 여러 전각과 함께 헐려 없어졌다.
문화재청은 건물터 발굴조사와 고문헌 고증을 거쳐 2011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4년에 걸쳐 소주방 건물 17동을 복원했다. 소주방이 들어선 권역은 근정전 뒤편 오른쪽으로 경복궁 중심부를 차지한다. 임금의 수라를 장만하던 내소주방(內燒廚房)과 궁중잔치나 고사를 위한 음식을 차리던 곳으로 일명 난지당(蘭芝堂)으로 일컬은 외소주방(外燒廚房), 그리고 임금의 별식인 다식이나 죽, 전 등을 준비하던 곳으로 복회당(福會堂)이라고도 한 생물방(生物房) 등으로 구성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대장금이 음식 만들던 ‘소주방’ 복원
입력 2015-02-17 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