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검사 완료 표시가 조작된 소방관 특수방화복이 무더기로 전국 소방관서에 공급된 사실을 뒤늦게 확인한 재난안전 당국이 관련업체를 형사고발하고 재구매에 나섰다. ‘뒷북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각 시도에서 조달청을 통해 구매한 방화복 중 일부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의 제품검사(인정검사)를 받지 않았다는 제보가 최근 조달청에 접수됐다. 방화복은 KFI의 제품검사를 받아야 하며, 기준에 적합한 방화복은 합격표시 날인을 찍어 일선 소방서에 공급된다. 그러나 안전처가 조달청과 함께 조달납품 수량과 KFI 인정검사 수량을 비교한 결과 두개 업체에서 1만9300여벌을 납품하면서 5300여벌이 제품검사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안전처는 관련업체 2곳을 지난 6일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KFI 철인 위조여부, 납품과정의 금품수수 비리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당국은 인정검사 날인이 무단으로 사용된 방화복이 언제부터, 얼마나 유통됐는지 아직 정확히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
안전처는 인정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의심되는 방화복을 착용하지 않도록 일선 소방관서에 통보했다. 또 방화복이 부족하지 않도록 190억원을 긴급 투입해 방화복 3만1119벌을 조기에 구매키로 했다.
김재중 기자
안전처, 소방관 특수방화복 품질검사 조작 ‘뒷북 대응’
입력 2015-02-16 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