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격 조합원 색출·설 연휴 금품살포 비상

입력 2015-02-16 02:39
‘제1회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가 한달 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전국에 비상이 걸렸다. 각 조합은 선거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무자격 조합원 색출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선관위와 수사기관은 점차 기승을 부리는 흑색선전, 금품 선거 등을 단속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15일 전국 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조합장 선거는 처음으로 전국에서 동시에 치러진다. 오는 20∼24일 선거인 명부를 작성하고 다음 달 1일 선거인명부를 확정짓는다. 선거운동기간은 이달 26일부터이며, 선거일은 3월 11일이다.

선거인 명부작성을 앞두고 조합들은 무자격 조합원 찾아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자격이 없는데도 이름이 등재된 조합원이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정리된 조합원이 2012년 8만2504명, 2013년 9만1612명, 지난해에는 17만115명으로 급증했다.

농업협동조합법이 정한 조합원 자격은 1000㎡ 이상 농지 경영 혹은 경작, 1년 중 90일 이상 농업 종사, 농지에서 330㎡ 이상 시설 설치·원예작물 재배, 660㎡ 이상 농지에서 채소·과수 또는 화훼 재배 등이다.

가장 문제는 오래전부터 해당 조합원으로 활동했지만 나이가 들면서 경작이나 농·축산 일을 하지 않는 ‘원로조합원’이다. 지난해 정리 조합원이 크게 늘어난 것도 원로조합원을 대대적으로 조사했기 때문이다.

선거가 가까워 오면서 상대 후보 흠집 내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북 문경 한 농협 조합장 출마 예정자의 지지자가 최근 상대 후보가 마트를 새로 지으면서 중앙회 지원금 6억원을 횡령했다는 소문을 냈다가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고 있다. 경남 진주의 한 농협 조합장 출마 예정자의 지지자들은 현 조합장이 2005년부터 5년간 5억원의 월차·연차 휴가 보상비를 부당 지급했다며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또 전남 여수에서는 농협 조합장의 차를 상대 후보의 친척이 들이 받아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 경찰은 이 남성이 고의로 차를 들이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지역은 후보 간 비방이 심한 곳이다.

금품 제공 등 금권선거도 여전하다. 지금까지 조합원에게 금품을 주거나 상대 후보를 비방하는 등의 이유로 중앙선관위에 적발된 선거법 위반 행위는 총 291건이다. 검찰은 이중 119명을 입건해 13명을 기소했으며, 2명은 불기소, 104명은 수사중이다.

전국 선관위와 수사기관은 긴 설 연휴 기간에 각종 부정이 기승을 부릴 수 있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중앙선관위는 선거감시 단원을 최대 2000명까지 늘리고, 부정선거신고 포상금도 최대 1억원까지 지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각 지역 선관위도 설 연휴 특별 감시 활동에 들어간다.

대구=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