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독일 프랑스 4개국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간 휴전이 합의됐다. 양측은 15일(이하 현지시간)부터 휴전에 들어가며 50㎞ 폭의 비무장지대를 만들기로 했다. 이로써 지난 10개월간 수천 명의 사망자를 낸 유혈충돌 사태가 해결의 수순으로 접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오후 8시15분(한국시간 12일 오전 2시15분)부터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 대통령궁에서 열린 4자회담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등이 참석했으며 17시간의 마라톤협상 끝에 평화안을 도출했다. 평화안에도 4개국과 함께 반군도 서명했다.
러시아 국영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협상 뒤 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이 15일 0시를 기해 교전을 중단하기로 관련국들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또 정부군은 현 전선에서, 반군은 지난해 9월 민스크 휴전협정에서 설정된 전선에서 각각 중화기를 최소 25㎞ 이상씩 철수해 50㎞의 비무장지대를 만들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중화기 철수는 휴전 개시 이틀 안에 시작해 14일 내 완료하기로 했으며 유럽안보협력기구(OSCE)가 감시하기로 했다.
양측은 또 분리·독립을 선언한 동부 지역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친러 주민의 합법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개헌을 올해 말까지 실시하기로 했다. 또 두 공화국 영토에 특수지위를 부여하기로 한 기존 법률을 이행하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국경 통제도 두 공화국과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
포로셴코 대통령은 회담 후 “반군 지역에 대한 ‘특수지위’가 자치권을 허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밝혀 향후 반군 지역의 위상을 놓고 대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는 특히 회담에서 반군 지역과 맞닿은 러시아와의 국경지대를 정부군이 관할해야 한다고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일각에선 단 며칠 만에 휴지조각이 된 지난해 9월 민스크 휴전협정의 재탕이 되는 게 아니냐는 회의적 시각도 없지 않다. 리아노보스티 통신도 “4개국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것은 최종 평화안의 80% 정도이고 20%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평화안은 메르켈 총리와 올랑드 대통령의 중재 덕분에 도출됐다. 특히 메르켈 총리는 지난 1주일간 베를린-키예프-모스크바-워싱턴DC-민스크 등을 오가는 2만㎞의 광폭 중재 외교를 펼쳤다.
우크라이나 사태는 러시아가 지난해 3월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를 병합한 데 이어 4월에는 동부 지역 친러 반군이 독립을 선언하면서부터 내전 양상으로 치달아 왔다.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지금까지 5400여명이 숨지고 1만3000여명이 부상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우크라 ‘15일 0시 휴전’ 전격 합의
입력 2015-02-13 03:03 수정 2015-02-13 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