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가 16일로 연기되면서 여야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새누리당은 12일 단독 처리의 부담을 덜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일단 인준을 막는 데 성공했지만 나흘의 시간이 주어진 만큼 변수가 적지 않다.
새누리당의 단독 처리 강행 방침은 확고하다. 야당의 본회의 참석 여부와 관계없이 여야 합의대로 국회의장이 임명동의안을 상정하면 투표할 예정이다.
안건을 단독 처리할 경우 당장 ‘반쪽 총리’ 비난이 뒤따르겠지만 부결 가능성은 거의 없다. 당 지도부는 소속 의원 전원이 표결에 나설 수 있도록 총동원령을 내리는 등 다시 한번 표 단속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이 표결에 참여한다면 단독 처리 꼬리표는 뗄 수 있어도 표 대결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은 이 후보자의 언론 외압 발언이 담긴 녹취록에서 추가 내용이 폭로되거나 새로운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말을 거치면서 이 후보자에 대한 여론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이다. 이 후보자에 대한 평가가 여론조사 등 수치로 나타나면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면서 당내 이탈표가 늘어날 수 있다.
새정치연합은 일단 여당의 단독 처리를 허탈하게 지켜보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 이제 남은 경우의 수는 표결 불참 또는 반대투표다. 당은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새정치연합이 표결에 불참할 경우 과반 의석을 가진 새누리당이 손쉽게 이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제1야당이 여론 악화로 궁지에 몰린 이 후보자를 막아내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통과시켜 주는 셈이 된다. 당내 강경파의 반발과 무기력한 제1야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예상된다.
반대로 국회 본회의에 참석해 반대표를 던지는 것도 쉽지 않다. 무기명 투표이기 때문에 여당 ‘반란표’를 기대할 수 있지만, 야당 내 충청권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지는 ‘역반란표’가 나올 수도 있다. 이 후보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가 충청권 표심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또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문 대표의 ‘호남총리’ 발언이 다시 불거질 공산이 크다. 결국 표결에 불참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새정치연합 원내지도부는 일단 이 후보자에 대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여론의 힘을 빌려보겠다는 계산이다.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는 여야 합의 후 기자들과 만나 “다른 후보자는 위장전입 하나로도 사퇴했는데, 그보다 더 많은 것(의혹)이 있지 않냐”고 했다.
권지혜 임성수 기자 jhk@kmib.co.kr
[국회 본회의 16일로 연기] 與 “단독처리 부담 덜었으니…” 野 “일단 인준 막았는데…”
입력 2015-02-13 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