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사진)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절차가 12일 우여곡절 끝에 미뤄졌지만 ‘언론사 외압’ 의혹 등으로 내상은 이미 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야당의 반발을 뚫고 총리에 오르더라도 ‘책임총리’로서의 영(令)이 제대로 설 수 있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여권에서 이 후보자에 대한 기대는 컸다. 박근혜정부의 숙원 과제인 경제 살리기와 공무원연금·공기업·규제 등 ‘3대 개혁’을 밀어붙이기 위한 힘 있는 총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후보자 총리 인준은 또 개각과 청와대 비서실장 교체 등을 통해 설 민심을 돌리려는 시나리오의 시작점으로 여겨졌다. 청와대는 개각 시기에 대해 “이 후보자의 국회 인준 절차가 마무리된 다음”이라고 못 박으면서 힘을 실어줬다.
이 후보자는 전날 청문회장에서 ‘청와대가 인사권을 다 행사하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총리를 그만두겠다”면서 ‘책임총리상’을 적극 구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러나 청문회 관문을 무난히 통과한다는 예상조차 여지없이 깨졌다. 이 후보자가 지난달 27일 일간지 기자 4명과의 점심자리에서 언론사 간부에게 전화해 자신에 대한 의혹 제기를 못 하도록 막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나온 것이다.
이 후보자에 대한 비판 여론이 식지 않으면 청와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여권 관계자는 “큰 기대를 했는데 이제는 총리 역할이 축소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국회 본회의 16일로 연기] 이완구, 통과돼도 ‘책임총리’ 令 설까
입력 2015-02-13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