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회의 16일로 연기] 정의화 의장 ‘여야 합의 원칙’ 또 통했다

입력 2015-02-13 02:36
정의화 국회의장(가운데)이 12일 국회의장실에서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왼쪽)와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오른쪽)는 서로 외면하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정의화 국회의장이 12일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단독으로 처리하려던 새누리당을 일단 저지했다. ‘본회의 강행’과 ‘설 연휴 이후 실시’를 각각 요구했던 여야 사이에서 오는 16일로 의사일정을 미루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정 의장은 국회에서 여야 원내대표단과 세 차례 회동했다.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 등도 만나 설득했다. 정 의장은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은 당장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지 말고 여러 가지를 다각적으로 생각해 달라”고 당부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을 겨냥해선 “청문 절차를 밟았으니 당당하게 의견을 제시해 전체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표결이 되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표결에 참여하지 않으면 본회의에서 사회를 보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사회권을 새누리당 소속 정갑윤 부의장에게 넘기는 방안도 거부했다.

정 의장은 본회의를 설 연휴 전인 13, 16, 17일 중 하루를 선택해 열자고 제안했다. 여야는 처음엔 부정적 입장을 보이다가 한발씩 물러서서 의사일정 연기에 합의했다. 정 의장은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특위를 통과해 본회의에 부의된 청문 경과보고서를 국회법에 따라 상정할 수 있었지만 결국 중재를 택했다.

다만 의사일정만 미룬 것일 뿐 야당의 본회의 참석 여부는 못 박지 않아 논란의 불씨를 남겨뒀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에도 새정치연합이 본회의에 불참해 새누리당이 단독 표결에 나설 경우 야당에 시간만 벌어줬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불만을 토로했다. 본회의 개회는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된 사항이었던 만큼 반발은 더욱 컸다. 김무성 대표는 긴급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의장이 어떻게든 여야 간 합의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방법이 없다”며 “의장이 사회를 안 보면 다른 방법이 없다”고 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의장에게 직권상정을 부탁하는 것도 아니고 인사청문특위에서 자동 부의된 보고서 채택 건과 관련해서 사회만 봐주면 되는 것”이라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한 당직자는 “여야가 합의한 일정에 의장이 왜 따르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정 의장 때문에 모든 일정이 꼬여버렸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