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의 공통 관심사는 ‘안전’이다. 그동안 얼마나 국민 안전을 등한시했는지를 구성원 모두가 자각했다. 공동체 곳곳에 위험 요소가 상존한다는 점도 명확하게 깨달았다. 그러나 안전이 뿌리 내리기까지는 갈 길이 먼 듯하다. 요즘도 크고 작은 인재(人災)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의 교훈을 잊어가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
인천 영종대교에서 11일 발생한 106중 추돌사고 역시 마찬가지다. 10m 앞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안개가 짙게 낀 상황에서 운전자들이 속도를 줄이지 않아 사고가 커진 것 같다는 게 경찰 설명이다. 안개가 심한 날은 감속 운행해야 한다는 건 상식이다. 속도를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 하지만 다수의 차량들은 안개가 다소 걷힌 구간을 통과하면서 높인 속도를 줄이지 못한 채 다시 안개 구간으로 들어서 연쇄 추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전수칙을 경시한 운전자들의 부주의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영종대교를 관리하는 쪽의 책임도 있다. 악천후 때는 도로의 차량을 통제하거나 운전자들에게 경고하는 게 마땅하다. 다리 진입 전에 세워진 3개의 대형 전광판을 통해 안개가 심하니 50% 감속 운행하라는 문구를 올렸다고는 하나 막상 다리에는 전광판이 없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등 전광판 설치가 부적절하다면 이상기후를 파악해 차량 속도를 낮추게 하는 ‘가변 속도제한 시스템’ 도입 등 다른 대안을 마련했어야 했다.
영종대교 추돌사고 7시간 뒤엔 신축 중이던 서울 사당종합체육관 천장 일부가 무너져 인부 11명이 매몰됐다가 구조되는 아찔한 사고가 일어났다. 앞서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 양주 GS자이아파트 화재, 장성 요양병원 화재, 고양 버스종합터미널 화재 사고 등이 있었다. 모두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월호 참사에도 안전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안전불감증은 급속한 산업화의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정보다 성과를 너무 중요하게 여기는 풍조로 인해 ‘빨리빨리’와 적당주의 문화가 확산돼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하루아침에 고칠 수는 없겠지만 정부와 국민들이 각성하고 ‘안전한 대한민국’ 건설을 위해 한발씩 나아가야 한다.
정부의 경우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을 촘촘히 짜는 등 탄탄한 재난대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진력해야겠다. 전문 인력과 기동장비를 확보해야 함은 물론이다. 국민들은 제각기 삶의 현장에서 끊임없이 위험 요소를 찾아내고 개선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아울러 정부나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 훈련에 적극 참여해 위급 상황 때의 대응 요령을 익히는 것도 필요하다.
[사설]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 언제나 없어질까
입력 2015-02-13 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