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 무사통과에 방점을 찍고 야당의 공세에도 대응을 자제하던 새누리당이 11일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를 구하기 위한 ‘표 단속’에 들어갔다.
새누리당은 당초 무난한 인준을 예상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인준 불가’ 쪽으로 방향을 잡자 다급해졌다. 원내지도부는 비상대책회의를 잇따라 열어 청문 전략을 논의했다. 일단 야당을 최대한 설득해 12일 본회의에서 인준 투표를 진행한다는 방침이지만 단독 표결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인준 표결은 여야가 합의한 의사일정대로 진행돼야 한다”며 사실상 강행 의사를 분명히 했다. ‘반쪽 총리’라는 비난을 감수하는 편이 설 이후로 인준이 지연돼 개각 등의 스케줄이 꼬이는 것보다는 정치적 부담이 덜하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새누리당이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단독 처리를 결심한다면 절차상 걸림돌은 없다. 우선 인사청문특위 위원 13명 중 새누리당이 7명으로 절반 이상이고, 위원장도 새누리당 소속이어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하는 데 문제가 없다. 이어 정의화 국회의장이 임명동의안을 본회의 의사일정 목록으로 지정하면 표결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정 의장이 직접 나서는 것보다는 새누리당 소속 정갑윤 부의장이 의사봉을 잡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임명동의안 본회의 처리 요건은 재적의원 과반출석·과반찬성이다. 현재 국회의원 재적수는 295명이고 새누리당은 158석을 차지하고 있다. 구속 중인 두 명을 제외하고 156명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어 재적 과반(148석)을 뛰어넘는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소속 의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본회의 대비 소집령을 내렸다.
다만 ‘과반 찬성’을 이끌어내기 위해 당내 반란표를 최소화해야 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 대목에선 친이(친이명박)계, 비박(비박근혜)계의 협조 가능성이 변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만약 새정치연합(130석)이 본회의에 참여해 당론으로 반대투표를 하면 새누리당 내 이탈표가 인준 여부를 가를 것으로 관측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이완구 표결’ 충돌] ‘과반 출석’ 의원 소집령… 당내 반란표 최소화 등 과제
입력 2015-02-12 02:39 수정 2015-02-12 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