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지도부가 11일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국정 과제인 경제 살리기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전날 박 대통령이 당 지도부와의 청와대 회동에서 “경제활성화가 잘 되도록 국회도 잘 이끌어 달라”고 당부하자 한목소리로 호응하는 모양새다. 최근 ‘증세 없는 복지’ 기조를 놓고 시각차를 보였던 것과 달리 당청관계가 한결 부드러워졌다는 해석이 나왔다.
김무성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경제성장률이 1% 포인트 높아지면 세수가 2조원 정도 늘어나는 만큼 경제활성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경제적 파이를 키우는 데 새누리당이 모든 당력을 다 모으겠다”면서 “(10일 청와대 회동에서) 민생경제 살리기에 당과 정부, 청와대의 인식차가 없음을 확인했다”고도 했다.
이는 침체된 경제를 살려내면 인위적인 증세를 하지 않더라도 세수가 증가해 그 ‘과실’로 복지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박 대통령의 논리와 같다. 이와 관련해 김 대표는 “밀물은 모든 배를 띄운다”는 비유를 들기도 했다.
유승민 원내대표 역시 전날 청와대 회동을 언급하면서 “대통령이 강조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입법은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당정청이 앞으로 ‘투 트랙’으로 소통을 강화하고 국정 운영이 원활하도록 협조하기로 했다”면서 “그전에 비해 소통과 대화가 훨씬 더 강화될 것 같아서 참 잘된 일”이라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경선 때부터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주장을 폈으나 한 발 물러선 스탠스를 보였다. 그는 “(박 대통령에게) 지금 상황에서 ‘증세 없는 복지’라는 틀에 갇히면 앞으로 상당히 어려워지니까 이 문제에 대해서 유연히 대처하자고 건의했다”고 말했다.
당내 ‘투톱’이 경제 살리기에 초점을 맞췄으나 비판적인 의견이 완전히 가라앉지는 않았다. 심재철 의원은 “정부는 지하경제 양성화, 비과세·감면 정비, 세출 구조조정으로 돈(복지 재원)을 만들겠다고 공약가계부를 발표했지만 지난 2년 성적표는 목표치에 턱없이 못 미치고 앞으로도 달성될 가능성이 없다는 게 솔직한 접근”이라며 “대통령께선 증세 없는 복지라는 구호에 갇혀 있지만 마시라”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소통의 ‘힘’… 당·청 회동 후 새누리 지도부 “경제 활성화” 한목소리 호응
입력 2015-02-12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