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 등 주요 기업 올 34조 투자 나선다

입력 2015-02-12 02:05

올해 국내 주요 제조업 기업들이 34조원 규모의 투자프로젝트에 착수할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기업들의 투자에 발맞춰 각종 걸림돌을 해소하고, 사업재편 노력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윤상직 장관 주재로 산업은행,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주요 경제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요기업 투자간담회를 열어 투자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전자 등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도 대거 간담회에 참여했다.

산업부가 재계를 통해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제조업 기업들이 준비 중인 투자 프로젝트 규모는 34조40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10월 투자간담회에서 집계된 28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 중 작년 하반기에 착수됐거나 유지보수 투자로 전환된 것을 제외한 22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가 올해 착수된다. 삼성전자의 평택 반도체 신규라인 건설 공사(15조6000억원)가 올해 상반기 중에 시작될 예정이고, 수조원 상당의 디스플레이 업체 라인 증설도 올해 안에 착공될 예정이다.

산업부가 투자 애로 해소 차원에서 발굴한 10조9000억원 규모의 투자도 올해 안에 집행된다. 우선 에쓰오일 울산공장 신증설(8조원)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되고, 여수산업단지 녹지해제를 통해 GS칼텍스 등 석유업체들의 공장증설도 가능해진다. 또 포스코의 광양 아연도금강판 공장 신축, 현대모비스의 충주 친환경 공장 증축, 현대차의 엔진공장 라인 증설 등 올해 1월 새롭게 발굴된 투자 프로젝트 규모도 1조1000억원에 이른다.

이와 별도로 기업들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시운전용 버커링 셔틀 도입 투자, 에코십(Eco-ship) 파이낸싱 펀드, 산업단지 환경개선펀드 등 총 23건에 대해 산업은행에 7조1000억원 이상의 투융자를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은은 사업성 검토를 통해 투융자 여부와 규모를 결정할 방침이다.

전경련은 간담회에서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 규제의 획기적 개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방향 재검토, 노사관련 현안 해결, 대규모 유통업체 영업·출점 규제 개선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아울러 장기불황이 이어지는 경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의 사업재편을 지원하는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별법은 비용 부담 완화 측면에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제한, 법인등기 등록세 경감 등이 거론됐다. 규제 부담 완화와 관련해서는 지주회사와 관련된 공정거래법상 규제 완화 필요성이 지적됐고, 절차 간소화 측면에서는 기업결합 심사기간 단축, 주주총회 특별결의 면제요건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업들의 투자를 독려하기 위한 각종 애로 해소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인수·합병(M&A)이나 사업체 매각 등을 통한 사업구조 재편 움직임은 사업재편지원특별법(가칭) 제정이나 산업은행의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윤 장관은 “투자를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산업부 장관이 앞장서 투자 애로 해소에 필요한 모든 것을 처리해 나갈 것”이라며 “M&A를 통한 주력·신사업 역량 강화, 비핵심 분야 이전 등을 통해 ‘군살은 빼고 핵심근육은 키우는’ 기업체질 개선에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