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2002년 처음 저우추취(走出去·국외 투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경쟁력 있는 산업 분야의 해외 진출을 장려해 왔다. 이로 인해 중국의 해외 투자는 2002년 27억 달러에서 지난해 1160억 달러로 40배 이상 성장했다.
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출 위주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대규모 경상 흑자가 났고 이에 따라 처리하기 힘들 정도의 외환보유액이 쌓였기 때문이다. 2008년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기부양을 위한 막대한 자금을 풀면서 지난해 한때 외환보유액은 4조 달러(약 4368조원)를 넘어서기도 했다. 중국 사회과학원 장닝 연구원은 “과도한 외화보유액은 큰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중국으로서는 자산의 배분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의 중국 진출 붐이 식어가면서 중국 내 과잉생산을 조절할 필요성도 생겼다. 중국에 진출한 한 대기업 관계자는 11일 “과거 중국에 공장을 짓는다고 하면 언제나 환영을 받았지만 지금은 엄밀한 심사를 거쳐 중국이 필요한 업종과 필요한 지역에 한해 허가를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최근 국무원 상무회의를 열어 해외 진출 기업의 걸림돌이 되는 각종 규제를 철폐하는 지원책을 발표했다. 해외 투자를 위한 사전 승인 규제는 대폭 철폐됐고 해외 증시 상장과 인수·합병(M&A) 절차도 간소화됐다.
중국 싱크탱크인 ‘중국과 세계화 연구센터(CCG)’ 왕야오후이 주임은 “중국 정부는 계속해서 기업의 해외 투자 문턱을 낮출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해외 투자의 99%가 지루한 승인절차 없이 등록만으로도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왕 주임은 하지만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며 “절차는 더 간소화돼야 하고 투자의 액수와 분야에 대한 제한도 걷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 관련기사 보기◀
[차이나머니의 부상] 中, 각종 규제 철폐… 기업 해외진출 독려
입력 2015-02-12 02:00 수정 2015-02-12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