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은 백화점, 마트 등 유통업계 중 가장 혼탁한 분야로 꼽힌다. 6개 채널의 한정된 방송시간을 수천, 수만 곳의 납품업체가 이용하려 하다 보니 홈쇼핑사가 ‘갑(甲)질’을 하기에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불공정행위로 피해를 본 업체들은 신고를 꺼린다. 좁은 홈쇼핑 업계 바닥에서 ‘블랙리스트’로 소문이 나면 발붙일 곳이 없어진다는 불안감에서다. 최근 5년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된 TV홈쇼핑 불공정행위는 5건에 불과할 정도다. 이 때문에 TV홈쇼핑사의 불공정행위는 교묘하고 지능적으로 이뤄지는 반면, 공정위가 이를 적발·시정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정부가 올 들어 TV홈쇼핑 불공정행위 상시 감시체계를 가동키로 한 것은 이 같은 배경 때문이다. 공정위는 11일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등 관련 3개 부처 부서장 회의를 개최하고 ‘홈쇼핑 정상화 추진 정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TF는 3개 부처의 특성을 감안한 협업 체제로 운영된다. 전국 11개 중소기업지방청에 홈쇼핑 피해 접수창구를 설치해 피해사례를 상시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정위는 불공정행위를 조사, 적발하고 미래부는 TV홈쇼핑 재승인 심사 시 이를 반영한다. 이와 별도로 공정위는 다음 달 중 TV홈쇼핑 불공정행위 직권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1년 365일 내내 TV홈쇼핑 업계의 불공정행위 여부를 들여다본다고 생각하면 된다”며 “불공정행위를 일삼는 TV홈쇼핑사는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비즈카페] “갑질 일삼는 TV홈쇼핑 시장서 퇴출” 3개부처 합동 TF 만들어 상시 감시
입력 2015-02-12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