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개발방식을 놓고 20년 가까이 충남과 마찰을 빚어온 군산의 인공섬을 인천 영종도처럼 재개발하자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전북독식’을 경계하던 충남권에 대해선 개발이익 공유를 제안해 성사 여부와 두 지역의 상생이 주목된다.
전북도는 올해 연말 확정되는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안(2015∼2020년)에 군산 ‘금란도’를 반영해줄 것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고 11일 밝혔다. 금란도는 군산·장항의 준설토를 퍼 올려 쌓은 인공섬으로 전주신시가지 규모인 203만여㎡에 이른다.
전북도는 친수공간을 조성할 예정인 이 곳을 관광레저와 스포츠타운 등을 결합한 항만 재개발 사업지로 바꿔달라고 요구했다. 단순한 친수공간을 넘어 같은 인공섬인 인천 영종도나 전남 광양 묘도처럼 재개발하자는 의견이다. 두 인공섬은 모두 민자사업으로 개발이 추진됐다. 전북도는 바로 옆에 건설중인 군장대교(군산∼서천)까지 준공되면 개발이익을 두 지역이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란도는 행정구역상으로는 군산시 해망동이지만 소유주는 국토부다. 1998년 첫 해상신도시 개발계획이 나왔지만 금강을 사이로 해역을 맞대고 있는 전북과 충남이 날카로운 신경전만 벌이고 있다. 군산시와 전북도는 재개발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서천군과 충남도는 어장훼손이 우려된다며 보전하자고 맞서고 있다. 이 곳에 대한 활용방안 구축 용역도 2012년 중지됐다.
하지만 그동안 대립각을 세웠던 군산시와 서천군이 최근 화해의 회동을 가져 전북도의 이번 계획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두 시·군은 지난 3일 2004년 이후 중단됐던 군산-서천 행정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그동안의 불화를 털고 화합과 소통의 길에 나서자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금란도를 친수지로만 활용하기에는 아깝다는 여론이 많아 다른 지역사례를 면밀히 검토했다”며 “마침 군산시와 서천군이 최근 손을 맞잡아 상생 방안을 잘 찾아나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북·충남 20년 갈등… 군산 금란도 재개발되나
입력 2015-02-12 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