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표결’ 충돌] ‘총리 낙마 악몽’ 또? 靑 속앓이

입력 2015-02-12 02:47 수정 2015-02-12 09:48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여러 악재 속에 난항을 겪으면서 청와대도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3년차 국정운영 동력 회복을 위한 ‘회심의 카드’로 지명한 이 후보자가 잇따른 구설에 휘말려 ‘앞날’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일단 표면적으로는 평상심을 유지하고 있다.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반드시 거쳐야 할 절차이고, 청문회장에서의 야당 공세 역시 감내해야 만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총리 인준안 처리를 위한 절차가 아직 남아 있으니 상황을 좀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인준 절차가 원만하게 빨리 이뤄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했다.

하지만 좀 더 살펴보면 속내는 그렇지 않다. 인사청문회 및 임명 동의가 난항을 겪을 경우 박 대통령의 집권 3년차 국정운영 구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청와대는 당초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나고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임명동의안이 처리되면 개각 및 청와대 후속개편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이르면 13일, 늦어도 주말 후속 개각과 청와대 개편 등 인적쇄신안을 발표한 뒤 설 연휴 이후 본격적인 3년차 국정 운영에 재시동을 건다는 것이다.

그러나 야당이 이 후보자에 대해 ‘결사반대’를 외치면서 여야 간 첨예한 대결구도가 다시 형성되고, 인준안 처리가 늦어질 경우 개각 등 인적쇄신 역시 설 이후로 줄줄이 순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 후보자가 공식 임명되면 총리의 국무위원 제청권을 보장하는 형식으로 개각을 단행하고 내각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구상도 빛이 바랠 수 있다. 이미 개각과 쇄신을 예고한 마당에 여러 논란에 파묻혀 시간을 보낸다면 좋을 게 없다는 뜻이다.

다만 청와대는 현재 인사청문회에 대한 공식입장 표명은 삼가는 분위기다. 청문회가 한창 진행되는데 청와대가 나서서 정치권에 불필요한 논란을 불러일으키지 않겠다는 의미다. 총리 인준 절차는 어차피 여야가 풀어야 하는 문제인 만큼 청와대가 먼저 야당을 자극시킬 필요는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이다.

남혁상 기자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