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 협의체 신설… 수시로 만나 정책 조율

입력 2015-02-11 02:27 수정 2015-02-11 09:51

박근혜(얼굴) 대통령은 10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유승민 원내대표, 원유철 정책위의장 등 여당 지도부와 청와대에서 회동을 갖고 당정청 정책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당정청 공식 협의체가 만들어지는 것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취임 이후 지난 2년간 지적받아온 집권여당과의 소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새누리당 내부에서 소통 및 정책조율 강화 차원에서 당정청 협의 활성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아울러 회동에선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당 대표 및 원내대표 4인 체제로 구성된 고위 당정협의회도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원 정책위의장은 회동 이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내각과 청와대 간 정책협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한 정책조정협의회에 더해 당정청이 하나가 되는 정책조정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당정청 정책협의체를 수시로 열어 모든 것을 잘 협조하자”며 “고위 당정청 회의도 적극 활용해 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자”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도 “민생경제 살리기에 대해선 박 대통령과 인식의 차이가 전혀 없고 조금도 다르지 않다. 당면한 현안을 잘 풀어가겠다”며 협조를 다짐했다.

신설되는 당정청 정책협의체는 새누리당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원내수석부대표와 정부 측 경제·사회부총리,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경제수석·정무수석 등 ‘3·3·3’ 형태로 구성된다. 이르면 설 직후 첫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그러나 지난 1일 정책조정협의회 등 청와대·내각의 6개 회의체 신설 발표에 이어 9일 만에 다시 당정청, 당정 관련 회의 2개를 또 추가하면서 ‘집권 3년차 박근혜정부가 회의체만 남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회동에선 또 박 대통령이 최근 정치권에서 불거지는 증세론에 대해 “내가 한 번도 증세 없는 복지 이야기를 직접 한 적이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한때 논란을 빚었다. 원 정책위의장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의 이 언급을 소개했으나 논란이 되자 “없었던 것으로 해 달라”고 정정했다.

남혁상 김경택 기자 hsnam@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