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이 바짝 다가오면서 세뱃돈으로 쓸 신권을 구하는 수요가 부쩍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이르면 11일부터 신권을 교환해주기로 했다.
NH농협은행은 11일부터 신권을 교환해준다고 10일 밝혔다. 지점마다 평균적으로 1만원권은 1인당 20만원, 5만원권은 50만원의 한도를 두기로 했다. NH농협은행 각 지점이 본사로부터 확보하는 신권 물량은 1만원권 2000만원, 5만원권 1억원가량에 불과하다.
KB국민은행은 국내 최대의 영업망을 가진 은행답게 신권 배포액도 많다. 지점마다 적게는 2억원, 많게는 4억원의 신권을 확보한다. 1만원권의 경우 작은 지점도 4000만∼5000만원씩 교환해줄 계획이다. 그러나 KB국민은행도 1인당 교환 금액에 제한을 두기는 마찬가지이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덜 고생하면서 신권을 교환할 수 있는 노하우 몇 가지를 공개했다. 우선 혼잡한 영업점을 피하라는 것이다. 영업점마다 신권 교환 한도가 있기 때문에 손님들이 몰려들면 순식간에 동이 나기 때문이다. 유동 인구가 많은 번화가보다는 한적한 골목에 위치한 영업점에서 신권을 손에 쥐게 될 확률이 더 높다. 새마을금고 또는 신협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손상된 화폐를 교환해주는 한국은행을 찾아도 된다. 한은은 16개 본부별로 화폐교환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지역을 관할하는 한은 본부의 경우 1인당 교환 한도는 1만원권 50만원, 1000원권 50만원, 5만원권 100만원, 5000원권 100만원 등이다.
신권을 구하기 어렵다면 주변의 VIP 고객들을 찾아보자. 시중은행 영업점들은 VIP 고객들을 위한 신권을 따로 챙겨놓기 때문이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정겨운 설·알뜰한 설 위한 팁] 빳빳한 신권 입수 전쟁서 승자 되려면…
입력 2015-02-11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