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간 전국에 협동조합 6251개가 새로 설립돼 3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협동조합이 저소득·노인층 등 취약계층의 돌봄·육아 서비스를 지원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데도 일등공신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5일 ‘협동조합 현황 및 2015년 주요 정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까지 협동조합 수는 6251개로, 올해 말까지 8500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분야별로 보면 전국의 협동조합 중 도·소매업이 734개(24.8%)로 가장 많고, 교육 371개(12.5%), 농림어업 361개(12.2%), 예술·여가 236개(8.0%), 제조 210개(7.1%)가 뒤를 이었다. 정부는 조합당 평균 5.8명, 총 3만6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취약계층의 고용, 육아, 돌봄 등 사회서비스 보완, 중소상공인·비정규직의 불공정거래 관행 개선, 다가구주택 공공임차 등 조합원 공동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협동조합 규모는 2012년 보건사회연구원이 법 시행 이후 5년 동안 최소 8000개에서 최대 1만개가 설립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협동조합에 대한 잠재수요가 많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부는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올해가 3년차임을 감안해 협동조합의 내실화와 건전한 생태계 조성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세무·노무·법무 등 전문 분야에 대한 컨설팅 등 경영지원을 강화하기로 하고, 공공기관 평가 시 사회적협동조합 물품의 구매실적을 반영토록 하는 등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의 내실을 다지기로 했다.
또 온라인 상품몰 운영 등을 통해 판로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자금 이용 확대를 유도하고, 공공기관과 기업의 사회공헌기금과 연계한 자금 지원도 늘릴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협동조합이 현재 추세대로 늘어나면 올해 말에는 8500개에 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정부 정책의 초점을 설립 지원에서 운영 내실화로 전환해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고용창출 일등공신 ‘협동조합’
입력 2015-02-06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