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된 재출마… 통진당, 재기 꿈꾸나

입력 2015-02-06 02:31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의원직을 잃은 김미희·이상규 전 통합진보당 의원(왼쪽부터)이 5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4·29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헌법재판소가 해산 결정을 내린 옛 통합진보당 소속 이상규·김미희 전 의원이 4월 보궐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야권 후보가 최소 4명 이상 난립할 것으로 예상돼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새 지도부의 부담이 커지게 됐다.

두 의원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월 보궐선거에 각각 자신의 전 지역구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의원은 서울 관악을, 김 전 의원은 성남 중원이었다.

이들은 “헌법과 법률에도 없는 국회의원직 박탈 결정은 초법적 권한 남용”이라며 “개인의 명예를 되찾기 위함이 아니라 박근혜정권이 짓밟은 유권자들의 정당한 권리를 되찾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을 향해서는 “제1야당은 어떤가. 정권의 무능과 실정, 공안통치에 맞서 싸워나가기는커녕 여전한 구태로 국민에게 실망만 안겨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과 함께 의원직을 박탈당한 오병윤 전 의원(광주 서구을)도 출마를 고려 중이다.

두 의원은 야권연대 가능성은 열어뒀다. 이 전 의원은 “저희는 야권 전체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새정치연합이 됐든 신당이 됐든 그분들이 마음을 열기만 하면 언제든 화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더 나아가 “이번에 제가 당선되는 것이야말로 박근혜정부에 대한 국민의 저항”이라며 “당선될 수 있도록 야권에서 도와 달라”고 읍소했다.

4월 보궐선거는 ‘2·8전당대회’ 이후 출범하는 새정치연합 새 지도부 리더십을 가늠할 수 있는 첫 시험대다. 선거가 치러지는 지역구 모두 야당 지지 성향이 강하다. 어느 한 지역도 잃어서는 안 되는 곳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당권주자들은 연대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박지원 의원은 일찌감치 통합진보당과의 연대는 없다고 밝혔다. 지난해 6·4지방선거 당시 경남에서 통합진보당과 연대 필요성을 시사했던 문재인 의원도 입장이 달라졌다.

문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4월 재보선 공천을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이르다”면서도 “다른 정체성을 내세우면서 활동을 다르게 해온 정당들이 특별한 정책 상황 속에서 한두 번 연대할 수는 있겠지만 늘 선거 때마다 되풀이 연대를 이야기하는 것은 정당정치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해산 결정에 대한 국민 지지가 높은 상황에서 섣불리 연대에 나섰다가는 ‘종북 프레임’에 빠질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권은 새정치연합과 정의당, 정동영 전 의원이 주축이 된 ‘국민모임’ 신당에 이어 통진당 의원들까지 출마를 선언하면서 표 분산이 불가피하게 됐다. 통진당의 경우 과거 지역구에서 2∼3%의 지지율을 얻었다. 특히 성남 중원은 새누리당 후보가 만만찮은 득표력을 갖고 있다. 새누리당이 지난 2일 성남 중원에 공천한 신상진 전 의원은 19대 총선에서 야권통합 후보로 나선 통진당 김 전 의원에게 불과 600표 차이로 졌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