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택시 서비스로 잇달아 형사 고발되며 위기에 몰린 ‘우버 코리아(우버 코리아 테크놀로지)’를 구하기 위해 데이비드 플루프 우버 글로벌 정책·전략 담당 수석 부사장이 직접 방한했다. 플루프 부사장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선거운동을 진두지휘하며 ‘오바마 브레인’으로 불렸던 인물로 지난해 9월 우버에 영입됐다. 플루프 부사장은 한국 정부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우버 기사의 ‘정부등록제’를 제안했다.
플루프 부사장은 4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버 기사들이 정부에 등록하고 적절한 상용 면허를 받는 ‘정부등록제’를 제안한다”며 “전과조회나 음주운전 여부 검증을 통해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면 우버 서비스는 더 안전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우버에 한국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실제로 우버 차량에 이용되는 단말기 기술을 한국으로부터 적용받는 등 기술적 도움을 받는 데다 스마트폰 단말기 보급률이 높아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우버 서비스 이용자를 쉽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류 열풍을 타고 관광객이 몰리는 것도 매력적인 이유로 꼽힌다. 우버는 2013년 8월 아시아에서 싱가포르에 이은 두 번째 진출 국가로 한국을 선택한 바 있다.
플루프 부사장이 급파된 것 역시 우버에 중요한 한국시장에서 ‘영업정지’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내에선 이미 2건의 형사 고발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고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위치정보법 위반 혐의로 고발을 의결했다. 최근에는 서울시의회가 우버택시 영업을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하는 내용의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한국뿐 아니라 프랑스 파리, 태국 푸껫 등 곳곳에서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지면서 우버 퇴출 여론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플루프 부사장은 “한국이야말로 미래지향적인 교통시스템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며 “우리는 한국 정부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우버를 통한 긍정적인 효과로 교통혼잡 감소, 일자리 창출 등을 꼽았다.
서울개인택시조합 소속 택시기사 100여명은 간담회장 앞에서 우버택시 영업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최악 막아라”… 우버택시, 본사 부사장 한국 급파
입력 2015-02-05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