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곳곳에서 민간투자 방식으로 진행된 사업들이 혈세 낭비나 이권 다툼 등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4일 대구시에 따르면 3년여의 공사 끝에 2013년 11월 재개관한 대구시민회관 리모델링 사업에 559억원의 예산이 들었다. 시는 519억원을 투자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0년간 위탁 관리를 맡겼다. 시는 원금·이자 836억원을 20년에 걸쳐 캠코에 상환하기로 했다.
시는 상환금 중 500여억원을 대구시민회관 상가 임대 수입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매년 25억원 이상의 상가 수익을 예상한 시는 매년 25억원의 수입을 캠코가 가져가고 수익금이 부족하면 시가 보전하기로 했다.
하지만 높은 임대가격과 임대방식 문제로 입찰이 7차례나 유찰돼 현재까지도 상가는 비어 있다. 결국 시는 계약에 따라 1년치 수익금 25억원을 캠코에 물어주게 됐다.
대구미술관은 운영 업체간 이권 문제로 소송이 3건이나 진행 중이다. 2007년 5월 착공해 2010년 3월 준공된 대구미술관은 건설 예산 675억원 중 556억원을 투자한 대구뮤지엄서비스가 운영권을 얻었다. 하지만 예식장 운영을 둘러싼 전·현 임대차 계약자들과의 문제로 운영업체·임대업자·대구시·기초단체 등이 얽혀 소송을 벌이면서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100% 민간투자사업으로 조성된 대구스타디움몰도 법정 싸움에 휘말렸다. 한 입점업체의 임대료·공사비(10여억 원) 체납 문제로 시행사와 업체들이 현재까지 소송을 진행 중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시민회관 리모델링·미술관 운영·대구스타디움몰 대구시 민자사업 바람 잘 날 없네
입력 2015-02-05 0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