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상황이 구조적 장기불황에 빠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영환경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상황과 비슷하거나 나쁘다고 판단한 기업이 많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30대 그룹(금융그룹 제외) 중 29개 그룹을 대상으로 올해 투자·경영 환경을 조사한 결과 82.8%(24곳)가 최근 한국의 경제상황에 대해 ‘구조적 장기불황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고 4일 밝혔다. 나머지 17.2%(5곳)는 ‘일시적 경기부진’이라고 답했다.
각 그룹이 처한 최근의 경영환경과 시장여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2.4%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17.2%)하거나 더 나쁘다(55.2%)고 답변했다. 직면한 경영상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해외시장 경쟁 심화(34.5%), 내수 부진(20.7%), 채산성 악화(17.2%), 자금 부족(13.8%), 생산비용 증가(10.3%), 수출 애로(3.5%) 등을 꼽았다. 경제회복 시점은 25개 그룹(86.2%)이 2017년 이후(44.8%), 또는 2016년(41.4%)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부정적인 경제상황 인식이 높다 보니 올해 중점 추진 경영전략으로는 사업 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58.6%)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연구·개발(R&D) 투자 등 신성장동력 발굴(27.5%), 시장점유율 확대 등 외형 성장(6.9%), 환율 변동 등 경영위험 관리(3.5%) 등을 제시했다. 경기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돼야 할 정책과제로는 내수경기 활성화(37.9%)가 가장 많이 거론됐다. 이어 투자관련 규제 완화(24.1%), 세제지원 확대(24.1%), 유연한 고용제도 구축(6.9%), 부동산시장 활성화(3.5%) 순이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D의 공포… 30대 그룹중 24곳 “장기불황 우려”
입력 2015-02-05 02:58